삼성 갤럭시 A90 5G가 발표된 것이 작년 9월!
발표 당시 스냅드래곤 855가 탑재되었다는 소식을 접하면서 고개를 갸우뚱 하기도 했었는데요.
우리나라 소비자들이 스마트폰 브랜드 네임만으로 제품 성능까지 미루어 짐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라지만 스마트폰에 조금만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도 당시 삼성의 플래그쉽이던 갤럭시 S10 시리즈에 탑재된 엑시노스 9820보다 더 나은 성능이라는 건 익히 알려진 사실이었습니다.
저 또한 엑시노스 9820을 탑재한 갤럭시 S10e와 스냅드래곤 855를 탑재한 홍콩판 갤럭시 S10e를 비교하는 리뷰를 진행하면서 그 차이를 제대로 느껴보기도 했었는데요.
삼성의 중급기라는 A90 5G에 탑재된 스냅드래곤 855! 어느 정도의 성능인지 가늠해보실 수 있었으면 합니다.
"중급기에서 만나는 플래그쉽 AP, 갤럭시 A90 5G"
갤럭시 A90 5G의 안투투 벤치마크 점수는 안투투 벤치 친화적(?)이라는 샤오미 미9에 비해서도 한 수 위 입니다.
40만점 중반대라는 전체 점수가 스냅드래곤 855라는 걸 바로 알 수 있게 해주는데요.
여기에 CPU와 GPU에서는 오차 정도의 점수차이를 보이지만 메모리와 UX 점수에서 샤오미 미9에 비해서 높은 점수를 획득하고 있습니다.
갤럭시 A90 5G의 스펙은 전혀 보지도 않은 상태에서 벤치를 진행하다가 저도 "오잉?"이라는 감탄사가 나온 부분이기도 한대요. A시리즈에 스냅드래곤 855를 탑재한 것도 그 의도가 무척 궁금한데 여기에 내장 메모리까지 UFS 3.0을 탑재했더군요!
AndroBench의 순차 읽기 속도만 봐도 UFS 3.0이라는 걸 확실히 알 수 있구요.
실사용시 체감하게 되는 랜덤 읽기는 크게 의미가 있을까 싶지만 쓰기 속도가 비약적으로 빨라서 반응 속도가 조금 더 빠르다는 건 분명히 느낄 수 있을 거라 봅니다.
긱벤치 역시도 제가 리뷰했던 여러 스냅드래곤 855 스마트폰들과 다른 점을 찾을 수는 없었는데요.
긱벤치 5 기준으로 싱글코어에서는 우리나라 갤럭시 S10에 탑재되던 엑시노스 9820 대비 소폭 떨어진다지만 그 또한 오차 수준 정도이고, 멀티코어에서는 크게 앞서고 있어서 CPU 성능만 가지고도 작년에 출시된 여러 갤럭시 플래그쉽들을 압도합니다.
"스냅드래곤 855의 결정적 차이, GPU!!"
당연하게도 GPU 성능 역시도 스냅드래곤 855, 플래그쉽의 성능을 그대로 뿜어냅니다.
GFXbench 결과로는 게이밍 폰으로 출시된 스냅드래곤 855+의 로그폰 2에 비해서는 프레임이 살짝 떨어진다는 느낌도 있는데요.
GFXbench | ||||||
구 분 | Mi 9 (Adreno 640) |
ROG Phone 2 (Adreno 640) |
Galaxy A90 5G (Adreno 640) |
|||
High-Level Tests | ||||||
Aztec Ruins OpenGL (High Tier) | 1,510 Frames (23 Fps) |
1,616 Frames (25 Fps) |
1,557 Frames (24 Fps) |
|||
1440p Aztec Ruins OpenGL (High Tier) Offscreen | 1,069 Frames (17 Fps) |
1,203 Frames (19 Fps) |
1,046 Frames (16 Fps) |
|||
Aztec Ruins OpenGL (Normal Tier) | 2,325 Frames (36 Fps) |
2,444 Frames (38 Fps) |
2,356 Frames (41 Fps) |
|||
1080p Aztec Ruins OpenGL (Normal Tier) Offscreen | 2,737 Frames (43 Fps) |
3,038 Frames (47 Fps) |
2,637 Frames (41 Fps) |
|||
Aztec Ruins Vulkan (High Tier) | 1,460 Frames (23 Fps) |
1,635 Frames (25 Fps) |
1,136 Frames (18 Fps) |
|||
1440p Aztec Ruins Vulkan (High Tier) Offscreen | 1,038 Frames (16 Fps) |
1,191 Frames (19 Fps) |
1,046 Frames (16 Fps) |
|||
Aztec Ruins Vulkan (Normal Tier) | 2,212 Frames (34 Fps) |
2,467 Frames (38 Fps) |
1,296 Frames (20 Fps) |
|||
1080p Aztec Ruins Vulkan (Normal Tier) Offscreen | 2,625 Frames (41 Fps) |
3,012 Frames (47 Fps) |
2,645 Frames (41 Fps) |
|||
Car Chase | 2,101 Frames (36 Fps) |
2,252 Frames (38 Fps) |
2,139 Frames (36 Fps) |
|||
1080p Car Chase Offscreen | 2,511 Frames (42 Fps) |
2,792 Frames (47 Fps) |
2,464 Frames (42 Fps) |
|||
1440p Manhattan 3.1.1 Offscreen | 2,532 Frames (41 Fps) |
2,845 Frames (46 Fps) |
2,478 Frames (40 Fps) |
|||
Manhattan 3.1 | 3,510 Frames (57 Fps) |
3,654 Frames (59 Fps) |
3,503 Frames (53 Fps) |
|||
1080p Manhattan 3.1 Offscreen | 4,639 Frames (70 Fps) |
4,895 Frames (79 Fps) |
4,280 Frames (69 Fps) |
|||
Manhattan | 3,709 Frames (60 Fps) |
3,798 Frames (61 Fps) |
3,698 Frames (60 Fps) |
|||
1080p Manhattan Offscreen | 6,267 Frames (101 Fps) |
6,851 Frames (110 Fps) |
6,011 Frames (97 Fps) |
|||
T-Rex | 3,348 Frames (60 Fps) |
3,425 Frames (61 Fps) |
3,343 Frames (60 Fps) |
|||
1080p T-Rex Offscreen | 9,400 Frames (168 Fps) |
10,419 Frames (186 Fps) |
9,066 Frames (162 Fps) |
|||
Low-Level Tests | ||||||
Tessellation | 1,793 Frames (60 Fps) |
1,829 Frames (61 Fps) |
1,790 Frames (60 Fps) |
|||
1080p Tessellation Offscreen | 4,651 Frames (78 Fps) |
5,330 Frames (89 Fps) |
4,670 Frames (78 Fps) |
|||
ALU 2 | 1,795 Frames (60 Fps) |
1,823 Frames (61 Fps) |
1,793 Frames (60 Fps) |
|||
1080p ALU 2 Offscreen | 8,774 Frames (146 Fps) |
10,025 Frames (167 Fps) |
8,690 Frames (145 Fps) |
|||
Driver Overhead 2 | 1,791 Frames (60 Fps) |
1,806 Frames (60 Fps) |
1,769 Frames (59 Fps) |
|||
1080p Driver Overhead 2 Offscreen | 7,391 Frames (123 Fps) |
8,025 Frames (134 Fps) |
6,989 Frames (116 Fps) |
|||
Texturing | 20,036 MTexel/s | 16,923 MTexel/s | 19,533 MTexel/s | |||
1080p Texturing Offscreen | 20,078 MTexel/s | 22,869 MTexel/s | 19,371 MTexel/s | |||
Special Tests | ||||||
Render Quality | 2,510 mB PSNR | 2,510 mB PSNR | 2,510 mB PSNR | |||
ender Quality (high precision) | 3,632 mB PSNR | 3,632 mB PSNR | 3,632 mB PSNR |
그렇지만 같은 스냅드래곤 855의 샤오미 미9에 비해서는 오차 정도 수준의 차이만을 보이고 있어서 그 어떤 게임이나 작업을 하더라도 막힘이 없을 거라는 건 쉽게 예상이 가능합니다.
모바일 배틀그라운드의 프레임 설정, 당연히 작년 중순에 오픈이 된 HDR고화질에 극한 설정이 가능하구요.
이 상태로 플레이를 해봐도 평균 59FPS/s 이상으로 엑시노스 버전의 갤럭시 S10 시리즈(S10e / S10 5G)에서 느껴지던 기분 나쁜 프레임 드랍 같은 건 전혀 느낄 수 없었습니다.
"전성비도 좋은데 배터리가 4500mAh!"
다른 플래그쉽 AP, 특히 엑시노스 대비 스냅드래곤 855의 강점 중 하나가 바로 전성비일 겁니다.
Galaxy A90 5G Antutu(V8) Dischage & Throttling Test | ||||
구 분 | Mi 9 | Battery | Galaxy A90 5G | Battery |
1차 | 440080 | 96% | 456332 | 96% |
2차 | 437999 | 90% | 453686 | 92% |
3차 | 440460 | 85% | 444490 | 88% |
4차 | 437649 | 80% | 451075 | 85% |
5차 | 435717 | 75% | 454779 | 81% |
6차 | 437536 | 70% | 448480 | 77% |
7차 | Error | 68% | 450334 | 73% |
8차 | 435495 | 63% | 452064 | 69% |
9차 | 434402 | 58% | 452252 | 65% |
10차 | 435209 | 53% | 451980 | 61% |
Average Run Time |
8m 55s | 8m 55s |
갤럭시 A90 5G는 작년 하반기 UFS 3.0을 탑재하고 출시가 되면서, 벤치마크에서도 다른 스냅드래곤 855 플래그쉽 대비 조금 나은 성능을 보이는 것은 물론 쓰로틀링 등이 발생하는 모습도 전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체감 성능에 영향을 줄 정도의 차이는 아니고 평균 실행 속도에서의 차이는 없는 걸로 보이지만 스크린샷 방식의 차이로 1~2초 정도 미9 대비 갤럭시 A90 5G가 더 빠르다고 생각을 하시면 좋을 듯 하구요.
Samsung Galaxy A90 5G AVI Play Test(Same Sample / Continuous playback test) | ||
구 분 | MX Player, 밝기 15(100%) | MX Player, 밝기 7(46.67%) |
시 간 | 약 18시간 27분 | 약 22시간 14분 |
비 고 | 배터리 5% 이하, 최종 1시간 정도는 밝기가 어두운 상태로 자동 재생 |
6.67인치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면서도 동영상 연속 재생 또한 최대 밝기에서 18시간 30분 정도로 AMOLED 디스플레이와 4500mAh 대용량 배터리의 조합에 걸맞는 재생 시간을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5G를 이용한 모바일 데이터 사용시에는 화면 켜짐 시간이 줄어들 거라 생각을 해야겠지만 스냅드래곤 855의 전성비를 고려했을 때 그리 큰 걱정이 되진 않습니다.
"충전 성능은 조금 약한 듯?"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들에 대용량 배터리가 탑재가 되면서 다른 제조사들이 앞다투어 충전 스펙을 올리고 있는데 반해 삼성은 고속 충전 기술 채용이 비교적 더딘 편이죠!
그나마 작년 갤럭시 S10 5G를 시작으로 최대 25W 충전이, 그리고 갤럭시노트 10+의 경우에는 최대 45W 충전을 지원한다고 하는데요.
갤럭시 A90 5G는 중급기로 분류가 되면서도 4500mAh의 대용량 배터리 덕분인지 최대 25W의 USB-C 타입의 충전기가 포함이 되어 충전 속도에 대한 불만은 크게 없을 거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USB 테스터로는 9V대 전압에서 최대 2.3A 정도까지만 측정이 되었는데요.
방전이 된 상태에서 번들 충전기로는 디스플레이에 안내되는 시간과 비슷하게 약 1시간 30분 정도에 완충이 가능했구요.
Galaxy A90 5G(4500mAh) Charging Test | |||||||
구 분 | 15m | 30m | 45m | 60m | 90m | 120m | 충전시간 |
11V 2.25A (Bundled) |
25% | 47% | 69% | 85% | 100% (+1m) |
- | 1h 31m |
~22.5W | ~19.8W | ~19.8W | ~14.4W | - | - | Up To 22.5W | |
PPS (CTM-224PQ) |
27% | 50% | 71% | 87% | 100% (-1m) |
- | 1h 29m |
~24.3W | ~20.7W | ~18.9W | ~14.4W | - | - | Up To 24.3W | |
PD 2.0 (UM80W) |
19% | 38% | 56% | 75% | 94% | 100% (-17m) |
1h 43m |
~17.1W | ~17.1W | ~16.2W | ~17.1W | ~8.55W | - | Up To 17.1W | |
QC 3.0 (CTM-06m) |
17% | 35% | 53% | 70% | 92% | 100% (-10m) |
1h 50m |
~15.3W | ~16.2W | ~16.2W | ~15.3W | ~9.9W | - | Up To 16.2W |
위 표에서 보시다시피 PPS 충전기의 경우에는 번들 충전기와 비슷한 속도로 충전이 가능했지만, 그 이하 PD 2.0이나 QC 3.0의 경우에는 번들이나 PPS 충전기보다는 조금 느린 충전 속도를 보였습니다.
최대 25W 충전을 지원한다고 하지만 갤럭시 A90 5G의 경우에는 기존에 사용되던 충전 방식들에 비해 크게 인상적인 모습을 보여주진 못했는데요. 배터리 수준이 낮을 때에도 그리 큰 차이를 보이지 못해서 25W 충전기가 반드시 필요한 건 아닐 거라 생각됩니다.
"스냅드래곤 855를 A시리즈에 탑재한 이유가 뭘까!"
작년에 갤럭시 A90 5G에 스냅드래곤 855가 탑재된다고 했을 때에도 큰 관심은 없었는데요.
막연히 플래그쉽보다 성능이 더 나을 텐데 왜 저런 걸 A시리즈에다 탑재를 하나 하는 의문 정도였습니다.
아무래도 플래그쉽의 성능을 뛰어넘는 중급기는 생각하기 힘든 만큼 뭔가 너프를 먹이지 않았을까 생각을 하기도 했지만 그런 모습은 전혀 찾아볼 수 없구요.
해상도와 카메라의 OIS 탑재 유무, 그리고 무선충전과 방수방진 정도만이 작년도 삼성 플래그쉽인 갤럭시 S10 시리즈와의 차이가 아닐까 싶습니다.
성능이 플래그쉽의 전부가 아니다라는 말씀을 하는 분들도 간혹 있으시던데요.
저 또한 동의합니다!
그렇지만 성능이 플래그쉽의 전부는 아닐런지는 몰라도 가장 기본적인 부분 아니던가요?
다른 스펙은 부족할지 몰라도 이 정도면 스냅드래곤을 탑재하고 출시된 중국 제조사들의 플래그쉽들과도 충분히 경쟁할 수 있는 정도의 기기가 갤럭시 A90 5G 아닐까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