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샤오미에서 가성비 제품들 위주의 레드미라는 브랜드가 분리되었습니다.
처음 시작은 우리에게 익숙한 홍미노트 정도가 그 대표 제품이었지만 곧 레드미 K20 프로라는 레드미 브랜드의 플래그쉽이 출시가 되었었구요.
레드미 K20 프로의 경우에는 미 9과 외형과 전면 카메라, 그리고 무선 충전 정도만을 제외한 대부분의 스펙이 샤오미 브랜드의 플래그쉽이었던 미 9과 판박이라 해외 스마트폰을 직구하는 분들에게는 꽤 인기를 얻었던 모델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올해, 스냅드래곤 865와 5G 모뎀 가격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았다고는 합니다만 또 다시 이 가성비를 무기로 레드미 K30 프로 / 레드미 K30 프로 줌이라는 2가지의 모델이 출시가 되었습니다.
작년에 출시된 K20 프로의 경우에는 미 9과 대동소이한 스펙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쓰로틀링에서는 조금 아쉬움이 남기도 했었는데요.
이번에 출시된 레드미 K30 프로 / K30 프로 줌은 어떤 차이를 보일런지 살펴보겠습니다!
"가격 차이는 1000위안, 성능 차이는 없다??"
동열한 용량 기준으로 미 10 프로와 K30 프로 줌 버전과의 가격 차이는 1000위안(약 17만원)!
그렇지만 동일한 AP와 LPDDR5 RAM은 물론이고, 메모리의 경우에는 UFS 3.1을 사용하면서 기본 하드웨어 스펙에서는 레드미 K30 프로 줌이 샤오미 미 10 프로 대비 조금 낫다고 판단을 할 수도 있을 겁니다.
안투투 벤치마크로는 K30 프로 줌이 미 10 프로 대비 약 8천점 정도 점수가 부족한 걸로 나오지만 이 정도는 정밀하지 못한 안투투 벤치마크의 오차라고 생각을 해도 좋을 테구요.
그렇지만 이 점수 차이가 UFS 3.1이라는 더 나은 파트가 사용된 메모리, 그리고 이와 연계된 UX에서 나온다는 건 조금 의아한 부분입니다.
긱벤치에서는 싱글 코어는 900점 이상, 그리고 멀티 코어 또한 3400점 이상으로 스냅드래곤 865의 CPU 성능은 확실히 보장이 된다는 건 쉽게 확인이 가능하구요.
UFS 3.1은 UFS 3.0 대비해서 전체적으로 성능이 소폭 향상된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저 정도의 성능 차이로는 실사용에서 차이를 느끼기엔 무리가 있다 보여지구요.
좌측의 미 9에 탑재된 UFS 2.1과 비교를 해야 이번 UFS 3.0/3.1이 얼마나 뛰어난 성능인지는 확인이 가능하실 거라 봅니다.
"그런데 GPU가 뭔가 좀......!"
안투투나 긱벤치 정도로는 유사한 스펙의 미 10 프로와의 차이점을 찾기는 힘들었는데요.
의외로 GPU에서 이해할 수 없는 성능 차이가 보여집니다.
GFXbench | ||||||
구 분 | Mi 9 (Adreno 640) |
Mi 10 Pro (Adreno 650) |
K30 Pro ZOOMm (Adreno 650) |
|||
High-Level Tests | ||||||
Aztec Ruins OpenGL (High Tier) | 1,510 Frames (23 Fps) |
2,024 Frames (31 Fps) |
1,911 Frames (30 Fps) |
|||
1440p Aztec Ruins OpenGL (High Tier) Offscreen | 1,069 Frames (17 Fps) |
1,325 Frames (21 Fps) |
1,310 Frames (20 Fps) |
|||
Aztec Ruins OpenGL (Normal Tier) | 2,325 Frames (36 Fps) |
3,168 Frames (49 Fps) |
2,976 Frames (46 Fps) |
|||
1080p Aztec Ruins OpenGL (Normal Tier) Offscreen | 2,737 Frames (43 Fps) |
3,491 Frames (54 Fps) |
3,443 Frames (54 Fps) |
|||
Aztec Ruins Vulkan (High Tier) | 1,460 Frames (23 Fps) |
1,977 Frames (31 Fps) |
1,865 Frames (29 Fps) |
|||
1440p Aztec Ruins Vulkan (High Tier) Offscreen | 1,038 Frames (16 Fps) |
1,325 Frames (21 Fps) |
1,318 Frames (20 Fps) |
|||
Aztec Ruins Vulkan (Normal Tier) | 2,212 Frames (34 Fps) |
3,054 Frames (48 Fps) |
2,885 Frames (45 Fps) |
|||
1080p Aztec Ruins Vulkan (Normal Tier) Offscreen | 2,625 Frames (41 Fps) |
3,493 Frames (54 Fps) |
3,462 Frames (54 Fps) |
|||
Car Chase | 2,101 Frames (36 Fps) |
2,707 Frames (46 Fps) |
2,507 Frames (42 Fps) |
|||
1080p Car Chase Offscreen | 2,511 Frames (42 Fps) |
3,071 Frames (51 Fps) |
2,997 Frames (51 Fps) |
|||
1440p Manhattan 3.1.1 Offscreen | 2,532 Frames (41 Fps) |
3,200 Frames (52 Fps) |
3,161 Frames (51 Fps) |
|||
Manhattan 3.1 | 3,510 Frames (57 Fps) |
4,930 Frames (80 Fps) |
3,683 Frames (59 Fps) |
|||
1080p Manhattan 3.1 Offscreen | 4,639 Frames (70 Fps) |
5,509 Frames (89 Fps) |
5,450 Frames (88 Fps) |
|||
Manhattan | 3,709 Frames (60 Fps) |
5,511 Frames (89 Fps) |
3,707 Frames (60 Fps) |
|||
1080p Manhattan Offscreen | 6,267 Frames (101 Fps) |
7,901 Frames (127 Fps) |
7,763 Frames (125 Fps) |
|||
T-Rex | 3,348 Frames (60 Fps) |
5,034 Frames (90 Fps) |
3,348 Frames (60 Fps) |
|||
1080p T-Rex Offscreen | 9,400 Frames (168 Fps) |
11,591 Frames (207 Fps) |
11,452 Frames (205 Fps) |
|||
Low-Level Tests | ||||||
Tessellation | 1,793 Frames (60 Fps) |
2,703 Frames (90 Fps) |
1,795 Frames (60 Fps) |
|||
1080p Tessellation Offscreen | 4,651 Frames (78 Fps) |
8,181 Frames (136 Fps) |
8,101 Frames (135 Fps) |
|||
ALU 2 | 1,795 Frames (60 Fps) |
2,702 Frames (90 Fps) |
1,795 Frames (60 Fps) |
|||
1080p ALU 2 Offscreen | 8,774 Frames (146 Fps) |
12,118 Frames (202 Fps) |
12,085 Frames (201 Fps) |
|||
Driver Overhead 2 | 1,791 Frames (60 Fps) |
2,702 Frames (90 Fps) |
1,794 Frames (60 Fps) |
|||
1080p Driver Overhead 2 Offscreen | 7,391 Frames (123 Fps) |
6,792 Frames (113 Fps) |
6,839 Frames (114 Fps) |
|||
Texturing | 20,036 MTexel/s | 24,443 MTexel/s | 24,194 MTexel/s | |||
1080p Texturing Offscreen | 20,078 MTexel/s | 24,575 MTexel/s | 24,558 MTexel/s | |||
Special Tests | ||||||
Render Quality | 2,510 mB PSNR | 2,510 mB PSNR | 2,510 mB PSNR | |||
ender Quality (high precision) | 3,632 mB PSNR | 3,632 mB PSNR | 3,632 mB PSNR |
GPU 테스트를 위해 GFXBench를 전체 테스트로 진행을 하고 있는데요.
위 표에서 보시다시피 절반 정도의 테스트가 종료된 후에는 GPU 성능이 최대 30% 이상 떨어지는 걸 확인할 수 있구요. 특히나 백그라운드 테스트가 아닌 실제 프레임 측정 영상에서만 이런 차이가 벌어진다는 건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런지요!
"AP 쓰로틀링은 느껴지질 않는데.....!"
K30 프로 줌 또한 K20 프로와 마찬가지로 쓰로틀링이 조금 걸린다면 납득을 할 수도 있겠지만, 위 GFXBench보다 더한 부하를 주는 안투투 벤치마크를 연속 테스트 해봐도 쓰로틀링이 걸린다는 느낌은 전혀 없습니다.
K30 Pro ZOOM Antutu Dischage & Throttling Test | ||||||
구 분 | Mi 10 Pro(4500mAh) | Redmi K30 Pro Zoom | ||||
Score(90Hz) | Battery | Score(60Hz) | Battery | Score(60Hz) | Battery | |
1차 | 607995 | 98% | 603550 | 98% | 594861 | 97% |
2차 | 605020 | 94% | 602516 | 94% | 590846 | 93% |
3차 | 604685 | 90% | 600835 | 90% | 590924 | 89% |
4차 | 602984 | 87% | 602426 | 87% | 588677 | 85% |
5차 | 605523 | 83% | 602926 | 83% | 589410 | 82% |
6차 | 603152 | 79% | 601751 | 79% | 590386 | 78% |
7차 | 602712 | 75% | 601189 | 75% | 589733 | 74% |
8차 | 604650 | 71% | 600141 | 71% | 591024 | 70% |
9차 | 600051 | 66% | 599636 | 68% | 589590 | 66% |
10차 | 602982 | 62% | 597254 | 64% | 590045 | 63% |
Average Run Time |
8m 44s | 8m 59s | 8m 40s |
점수는 조금 부족할 런지 몰라도 평균 실행 속도에서는 미 10 프로를 멀찌감치 따돌리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도 하구요.
차이가 난다면 사용된 디스플레이 패널 정도일 텐데 아몰레드 디스플레이가 발열로 인한 부하를 준다는 건 아직 경험해보질 못해서 참 난해한 부분입니다! ㅠㅜ
이런 벤치 외에 직접 핸들링이나 모바일 배틀그라운드 1시간 정도 플레이로는 위화감이 전혀 들지는 않았는데요. 단순히 벤치마크 오류(세 번 정도 비슷했던)였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커진 만큼 오래가고, 충전도 빨리 되고!"
디스플레이가 6.67인치로 커진 만큼 배터리도 4700mAh의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는 레드미 K30 프로 줌!
Redmi K30 Pro ZOOM AVI Play Test(With Mi 10 Pro, Same Sample / Continuous playback) | ||||||
구 분 | MX Player, 밝기 100% | MX Player, 밝기 46.67% | ||||
Mi 10 Pro |
K30 Pro ZOOM |
Mi 10 Pro | K30 Pro ZOOM |
|||
90Hz | 60Hz | 90Hz | 60Hz | |||
시 간 | 약 17시간 40분 | 약 16시간 10분 | 약 19시간 20분 | 약 23시간 26분 | 약 23시간 51분 | 약 23시간 14분 |
동영상 재생 테스트로는 미 10 프로의 4500mAh 배터리 대비 최대 밝기에서는 약 19시간 20분으로 조금 나은 모습을, 중간 정도의 밝기에서는 약 23시간 14분으로 조금 부족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최대 밝기는 미 10 프로가 정상이 아닌 모습이라 비교를 하기엔 좀 무리가 있어서 그저 비슷한 배터리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을 하면 될 듯 합니다.
아몰레드 & 대형 디스플레이인만 강력한 성능과 함께 영상 시청이 많은 분들에게는 무척 반가운 스마트폰이 될 걸로 보이구요.
충전 또한 최대 11V 3A, 33W 충전기가 포함이 되어있고, 이 번들 충전기로는 방전된 상태에서 완충까지 겨우 1시간 정도만의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Redmi K30 Pro ZOOM Charging Test | |||||||
구 분 | 15m | 30m | 45m | 60m | 90m | 120m | 충전시간 |
11V 3A (Bundled) |
35% | 65% | 88% | 99% | 100% (-28m) |
- | 1h 2m |
~32.9W | ~28.2W | ~21.6W | ~10.3W | - | - | Up To 32.9W | |
PPS (CTM-224PQ) |
24% | 49% | 75% | 89% | 100% | - | 1h 30m |
~22.6W | ~23.5W | ~24.4W | ~13.2W | - | - | Up To 24.4W | |
QC 3.0 (CTM-224PQ) |
18% | 35% | 53% | 71% | 93% | 100% (-11m) |
1h 49m |
~16.9W | ~15.9W | ~16.9W | ~16.9W | ~10.3W | - | Up To 16.9W |
미 10 프로의 46분 완충이라는 시간에는 부족해보여도 결코 부족한 충전 성능은 아닐 거라 판단이 되구요.
그 외 최대 25W의 PPS 충전기로는 약 1시간 30분, 아직도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는 QC 3.0 충전기로는 1시간 50여분 정도가 소요되어 충전 속도에 대한 아쉬움은 전혀 없을 걸로 보입니다.
다만 이 K30 프로 줌 또한 요즘 많은 분들이 사용중인 Baseus 65W GaN 충전기로는 USB-A포트로만 고속 충전이 가능하다는 점은 유념하셔야 할 듯 싶네요.
"이번에도 만족도는 미 10 프로보다 K30 프로 줌?"
작년에 미 9, 그리고 이어서 K20 프로 리뷰를 진행하면서 K20 프로에 좀 더 좋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도 이런 느낌은 마찬가지인 듯 하구요.
아무래도 이 성능과는 무관한 노치가 없는 리얼 풀스크린 디스플레이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닐까 생각이 되는데요. 성능 또한 부족함이 없으니 호감도는 당연히 증가할 수 밖에 없는게 아닌가 싶네요.
그리고 이 K30 프로 줌은 K30 프로와는 다르게 광각과 망원에 OIS를 탑재하고 있죠!
그래서 가격도 K30 프로에 비해서는 살짝 비싼 편이지만 K30 / K30 5G와 같은 센서를 사용하고 있는 만큼 OIS와 어울어져 더 좋은 사진을 보여줄 거라는 것도 예상이 가능합니다.
이거 곤란해지는데요!
큰 맘 먹고 100만원이 넘는 미 10 프로를 샀더니 막강한 경쟁 상대가 또 등장해버리고 말았습니다! ㅠㅜ
이 포스팅은 네이버 리퍼비쉬팩토리 포럼의 "개인 블로그" 행사를 통해
소정의 원고료를 제공받고 작성된 글임을 알립니다.
그렇지만 블로거 육성 & 지원이라는 행사 취지에 따라
포스팅은 일체의 간섭도 없이 제 소신껏 작성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