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아이모(IT&모바일)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아이모(IT&모바일)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아이모(IT&모바일)

IT서비스&모바일 제품들에 대한 소소한 리뷰 by ruinses@gmail.com

삼성 갤럭시 S10e 홍콩판 vs 국내판 비교 리뷰 - 모바일 배그, 배터리 어쩔!!

  • 2019.04.15 00:00
  • 모바일(Global)/ㅅㅅ
반응형


우리가 플래그쉽을 구매하면서 가지게 되는 기대감! 

일상적인 사용이야 당연한 거고 최신 게임 등의 무거운 작업들도 거침없이 해줄 거라는 기대 때문일 겁니다.(물론 여기에 일부 과시욕(?)이 첨가되기도 할 테치만!!)

같은 이름으로 판매가 되지만 스마트폰 성능의 핵심인 AP가 다른 삼성 갤럭시 S10e 홍콩판과 국내판!

AP가 다름에도 같은 라인업으로 판매를 한다는 건 사용자들에게 모든 사용경험까지 비슷하게 선사할 수 있을 거라는 계산 하에서 이루어지는 일일 텐데요!

이미 앞선 리뷰에서 벤치 성능은 유사하지만 배터리는 Exynos 9820을 탑재한 국내판이 부족한 모습을 보일 것 같다는 말씀을 드린 바 있구요.

▶ 삼성 갤럭시 S10e 홍콩판 vs 국내판 비교 리뷰 - 배터리부터 다른데??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듯이 벤치마크 테스트가 성능에 대한 체감과 직결된다고 보기 어려운 시절인 만큼, PUBG 배틀 그라운드를 가지고 삼성 갤럭시 S10e 홍콩판과 국내판, 스냅드래곤 855와 Exynos 9820 성능에 대한 부분을 비교해봤습니다.

이 리뷰는 유튜브에도 업로드 되어있구요. 최대한 자세히 기술합니다만 어차피 게임 플레이 리뷰라 이 포스팅과 함께 영상도 보셔야 할 겁니다! 고프레임의 게임 플레이 영상을 GIF로 만들 수는 없잖아요. ㅠㅜ


그리고 이런 게임 실행에 관한 리뷰는 예전 포켓몬고 말고는 처음인데요. 부족한 점 있더라도 많은 양해 부탁드립니다! ㅠㅜ


  벤치로는 막상막하 또는 엑시노스 국내판이 우월??

앞선 리뷰에서 보셨다시피 기본적인 벤치마크들로는 삼성 갤럭시 S10e 홍콩판과 국내판, 스냅드래곤 855와 엑시노스 9820의 차이를 체감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뻥투투라 욕을 하는 안투투만 보더라도 게임 성능을 좌우한다는 GPU 점수만 가지고는 오차 수준 정도라 직접 체감할 정도의 성능 차이라 생각하기엔 어려워 보이구요.


긱벤치의 COMPUTE 테스트로는 오히려 엑시노스 9820의 국내판이 20% 이상 성능이 높은 걸로 측정이 되기도 하지만, 이 결과는 터무니 없어 보이구요.


3D랜더링 테스트가 주가 되는 GFXBench 역시 1회차 테스트는 High-Level Test에서 엑시노스 9820의 국내판이 높은 프레임을 보이는 항목들이 더 많은데요.

GFXbench
구 분 1st Test 2nd Test 3rd Test
SM-G970N
(Exynos9820)
SM-G9700
(SDM855)
SM-G970N
(Exynos9820)
SM-G9700
(SDM855)
SM-G970N
(Exynos9820)
SM-G9700
(SDM855)
High-Level Tests
Aztec Ruins OpenGL (High Tier) 1,700 Frames
(26 Fps)
1,584 Frames
(25 Fps)
1,687 Frames
(26 Fps)
1,109 Frames
(17 Fps)
1,681 Frames
(26 Fps)
1,574 Frames
(24 Fps)
1440p Aztec Ruins OpenGL (High Tier) Offscreen 1,114 Frames
(17 Fps)
1,079 Frames
(17 Fps)
675.5 Frames
(11 Fps)
842.2 Frames
(13 Fps)
1,021 Frames
(16 Fps)
1,055 Frames
(16 Fps)
Aztec Ruins OpenGL (Normal Tier) 2,675 Frames
(42 Fps)
2,439 Frames
(38 Fps)
1,477 Frames
(23 Fps)
2,385 Frames
(37 Fps)
2,165 Frames
(34 Fps)
2,421 Frames
(38 Fps)
1080p Aztec Ruins OpenGL (Normal Tier) Offscreen 2,954 Frames
(46 Fps)
2,731 Frames
(42 Fps)
2,709 Frames
(42 Fps)
1,843 Frames
(29 Fps)
2,429 Frames
(38 Fps)
2,705 Frames
(42 Fps)
Aztec Ruins Vulkan (High Tier) 1,236 Frames
(19 Fps)
1,520 Frames
(24 Fps)
751.4 Frames
(12 Fps)
1,112 Frames
(17 Fps)
1,026 Frames
(16 Fps)
1,516 Frames
(24 Fps)
1440p Aztec Ruins Vulkan (High Tier) Offscreen 1,005 Frames
(16 Fps)
1,038 Frames
(16 Fps)
928.3 Frames
(14 Fps)
1,024 Frames
(16 Fps)
822.0 Frames
(13 Fps)
1,025 Frames
(16 Fps)
Aztec Ruins Vulkan (Normal Tier) 1,034 Frames
(16 Fps)
2,305 Frames
(36 Fps)
922.7 Frames
(14 Fps)
1,900 Frames
(30 Fps)
1,022 Frames
(16 Fps)
2,293 Frames
(36 Fps)
1080p Aztec Ruins Vulkan (Normal Tier) Offscreen 2,600 Frames
(40 Fps)
2,615 Frames
(41 Fps)
1,807 Frames
(28 Fps)
2,263 Frames
(35 Fps)
2,584 Frames
(40 Fps)
2,617 Frames
(41 Fps)
Car Chase 2,193 Frames
(37 Fps)
2,204 Frames
(37 Fps)
2,170 Frames
(37 Fps)
1,935 Frames
(33 Fps)
2,194 Frames
(37 Fps)
2,179 Frames
(37 Fps)
1080p Car Chase Offscreen 2,516 Frames
(43 Fps)
2,492 Frames
(42 Fps)
1,564 Frames
(26 Fps)
2,161 Frames
(37 Fps)
2,313 Frames
(39 Fps)
2,473 Frames
(42 Fps)
1440p Manhattan 3.1.1 Offscreen 2,358 Frames
(38 Fps)
1,985 Frames
(32 Fps)
1,308 Frames
(21 Fps)
1,713 Frames
(28 Fps)
1,931 Frames
(31 Fps)
1,980 Frames
(32 Fps)
Manhattan 3.1 3,480 Frames
(56 Fps)
2,741 Frames
(44 Fps)
2,134 Frames
(34 Fps)
2,720 Frames
(44 Fps)
3,094 Frames
(50 Fps)
2,664 Frames
(43 Fps)
1080p Manhattan 3.1 Offscreen 4,184 Frames
(67 Fps)
2,927 Frames
(47 Fps)
3,909 Frames
(63 Fps)
3,850 Frames
(62 Fps)
3,282 Frames
(53 Fps)
2,929 Frames
(47 Fps)
Manhattan 3,670 Frames
(59 Fps)
3,701 Frames
(60 Fps)
3,628 Frames
(59 Fps)
3,531 Frames
(57 Fps)
3,635 Frames
(59 Fps)
3,507 Frames
(57 Fps)
1080p Manhattan Offscreen 4,982 Frames
(80 Fps)
6,184 Frames
(100 Fps)
3,741 Frames
(60 Fps)
4,434 Frames
(70 Fps)
3,482 Frames
(56 Fps)
4,238 Frames
(68 Fps)
T-Rex 3,330 Frames
(59 Fps)
3,338 Frames
(60 Fps)
3,324 Frames
(59 Fps)
3,338 Frames
(60 Fps)
3,330 Frames
(59 Fps)
3,339 Frames
(60 Fps)
1080p T-Rex Offscreen 5,598 Frames
(99 Fps)
6,277 Frames
(112 Fps)
5,358 Frames
(96 Fps)
9,350 Frames
(167 Fps)
5,366 Frames
(96 Fps)
9,339 Frames
(167 Fps)
Low-Level Tests
Tessellation 1,777 Frames
(59 Fps)
1,791 Frames
(60 Fps)
1,785 Frames
(60 Fps)
1,789 Frames
(60 Fps)
1,791 Frames
(60 Fps)
1,790 Frames
(60 Fps)
1080p Tessellation Offscreen 5,942 Frames
(99 Fps)
4,685 Frames
(78 Fps)
6,021 Frames
(100 Fps)
4,687 Frames
(78 Fps)
6,021 Frames
(100 Fps)
4,686 Frames
(78 Fps)
ALU 2 1,798 Frames
(60 Fps)
1,795 Frames
(60 Fps)
1,794 Frames
(60 Fps)
1,792 Frames
(60 Fps)
1,798 Frames
(60 Fps)
1,790 Frames
(60 Fps)
1080p ALU 2 Offscreen 8,959 Frames
(149 Fps)
8,767 Frames
(146 Fps)
9,005 Frames
(150 Fps)
8,720 Frames
(145 Fps)
8,875 Frames
(148 Fps)
8,728 Frames
(145 Fps)
Driver Overhead 2 1,104 Frames
(37 Fps)
1,791 Frames
(60 Fps)
949.6 Frames
(32 Fps)
1,788 Frames
(60 Fps)
973.0 Frames
(32 Fps)
1,789 Frames
(60 Fps)
1080p Driver Overhead 2 Offscreen 2,306 Frames
(38 Fps)
7,390 Frames
(123 Fps)
1,771 Frames
(30 Fps)
7,190 Frames
(120 Fps)
2,094 Frames
(35 Fps)
7,377 Frames
(123 Fps)
Texturing 10,076 MTexel/s 19,556 MTexel/s 5,445 MTexel/s 16,430 MTexel/s 10,101 MTexel/s 18,083 MTexel/s
1080p Texturing Offscreen 10,047 MTexel/s 19,016 MTexel/s 6,311 MTexel/s 17,914 MTexel/s 10,076 MTexel/s 17,633 MTexel/s
Special Tests
Render Quality 3,265 mB PSNR 2,510 mB PSNR 3,265 mB PSNR 2,510 mB PSNR 3,265 mB PSNR 2,510 mB PSNR
ender Quality (high precision) 3,636 mB PSNR 3,632 mB PSNR 3,636 mB PSNR 3,632 mB PSNR 3,636 mB PSNR 3,632 mB PSNR

※ 각 항목별 10% 이상 차이나는 항목만 별도 표기, SM-G970N(Exynos 9820, 국내판)은 붉은 색 / SM-G9700(Snapdragon 855, 홍콩판) 초록색


다만 연속 테스트에서는 쓰로틀링이 걸리는 건지 스냅드래곤 855를 탑재한 홍콩판이 회차를 거듭할 수록 점점 더 우위를 점해가는 모습입니다.


안투투를 제외하고는 오히려 엑시노스 9820을 탑재한 국내판의 그래픽 성능이 더 우수하다고 생각이 될 정도의 결과인데요!


과연 실제 게임 플레이는 어떨른지!!



  스냅은 훨~ 훨~ ! 권장 옵션부터 프레임이 끊어지는 국내판!


※ 아래 모바일 배그는 "GameBench (FPS counter without root)"라는 앱을 통해 프레임 등을 측정했습니다.

▶ GameBench (FPS counter without root) on Google Play


현 세대를 대표하는 플래그쉽인 만큼 삼성 갤럭시 S10e 홍콩판과 국내판, 두 기기 모두 배틀그라운드를 첫 실행해서 만나게 되는 설정은 "고화질" 입니다!


참고로 지난 주 국내에 정식 출시한 레드미 홍미노트7의 경우에는 "밸런스 화질" 이었구요! 저는 아직 "일반 화질"로 설정되는 기기를 실행해보진 않았습니다.


이 "고화질" 기본 설정은 게임을 실행해보면 HD 화질에 FPS는 높음으로 설정이 되어있구요. 게임 프레임을 측정해보니 이 상태로는 31FPS가 최대!


그리고 밸런스에서 HDR 고화질까지는 FPS를 "울트라"로도 설정이 가능했었는데, 이 경우는 최대 41FPS까지 올라가는 걸로 보였구요.


최대 프레임이라는 "극한"은 화질을 "원활"로 설정할 경우에만 디스플레이 되었고, 이 경우는 최대 61FPS까지 올라가는 걸 볼 수 있었습니다.


안타깝게도 저는 겜알못이라 배틀그라운드는 아직 트레이닝만 열심히 하고 있는 상황이어서요.


그래서 게임 플레이는 팔아야 하는 폰은 안 팔고 매장에 PC만 잔뜩 가져다둔채 게임에 몰두하는 영도에 거주하는 K님께 대신 부탁을 했습니다!! 작년까지는 쭉~ 국내판 갤럭시만 사용하다 얼마 전 제 덕분에(?) 아이폰 XR & 미패드4로 변절을 한 인물이기도 합니다! ㅡ.ㅡㅋ


외산폰만 쓰는데 폰 파는 지인이 있냐구요? 전 제 주변에 외산폰을 먼저 권하지 않습니다! 국내 정발폰을 먼저 소개를 해주는게 당연한 거고, 그럴 때만 위 K님께 주로 부탁(?)을 하고 있습니다!! 언제나 소위 말하는 무릎 정도는 되거든요!! ㅋ


게임은 2시간 정도 K님이 직접 플레이 했구요. 저는 그 옆에서 쭉 게임하는 모습을 지켜보고만 있었는데요!


엑시노스 9820을 탑재한 국내판 갤럭시 S10e의 경우에는 이 화면 설정과 무관하게 권장 옵션(HD, 높음, 최대 31FPS)에서도 캐릭터 이동 중에 프레임이 끊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구요.


스냅드래곤 855를 탑재한 홍콩판 갤럭시 S10e의 경우에는 아예 "극한" 옵션으로만 플레이를 했습니다만 그런 와중에도 프레임이 끊어지는 모습은 볼 수 없었습니다!


그렇지만 국내판의 경우 이동시에 프레임 드랍이 많은 데 반해 실제 전투에서는 모든 옵션에서 "이게 불편할 정도인가?"하는 의문을 가질 정도였구요.(이 부분은 겜알못이라 그럴 수도 있습니다!)


보통 고사양 PC에서 풀프레임으로 게임을 하는 K님은 어차피 PC보다는 못한 거고 "이 정도면 스냅드래곤 사용해본 사람이 아니면 그냥 플레이를 해도 모르겠다!"라는 멘트를 영상 녹화 중에 남기기도 했습니다.


물론 배틀그라운드의 최적화 부분도 고려를 해야겠지만 위 벤치테스트와는 무관하게 스냅드래곤 855를 탑재한 홍콩판이 게임 성능에서도 뛰어난 건 분명해 보이구요.


게임을 플레이 하면서도 엑시노스 9820을 탑재한 국내판의 경우에는 FPS 설정 "극한"에서 최저 48프레임까지 떨어지는 모습을 봤었는데요. 


플레이어인 K님과 관전자였던 제가 느꼈던 것과 마찬가지로 게임 플레이 중 엑시노스 9820을 탑재한 국내판이 스냅드래곤 855를 탑재한 홍콩판 대비 프레임 변화가 더 극심했다는 건 GameBench 앱에서도 측정을 해두고 있었네요!


스냅드래곤 855의 홍콩판은 위 그래프에서는 프레임 변화가 50프레임 중반대까지 기록이 되었지만 플레이 중에는 58 프레임까지만 확인을 했었구요. 실제 게임 플레이 중에 프레임이 떨어진다는 느낌 또한 전혀 들지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여담으로 이 두 기기 플레이를 마친 후 스냅드래곤 845를 탑재한 샤오미 포코폰으로도 잠시 플레이를 해봤었는데요.


플레이를 시작하자마 K님 말로는 스냅드래곤 855를 탑재한 갤럭시 S10e보다 포코폰이 나은게 아니냐는 얘기도 잠시 했었습니다.


물론 도보로 달리는 정도로는 엑시노스 9820 대비 끊어지는 현상 같은 건 없었지만 곧 장비에 탑승하면서 프레임이 끊어지는 걸 보고 홍콩판보다 좋다는 말은 취소했구요! ㅡ.ㅡㅋ


2시간여 기기를 바꿔가며 플레이를 해본 결과 엑시노스 9820을 탑재한 국내판 갤럭시 S10e는 일단 다른 성능은 제껴두고 게임에서는 스냅드래곤 845 기기보다도 성능이 떨어지는 걸로 보였습니다!



  홍콩판 vs 국내판, 배터리 소모는 1:2 그 이상!


겜알못은 플레이 하는 것만 즐겁게 감상을 했는데요! 대신 중간중간 다른 성능에 대한 부분을 살펴봤습니다.


일단 게임 성능도 성능이겠지만 배터리 소모에서 너무 차이가 큽니다!★★★


화면 밝기 100% 기준으로 스냅드래곤 855를 탑재한 홍콩판의 경우에는 최대 프레임 옵션에서 20분 플레이를 하고 나니 약 10% 정도의 배터리가 소모가 되었는데요. 엑시노스 9820의 국내판은 불과 8분 만에 10%의 배터리를 소모합니다??


아무리 AP가 다르다지만 쉽게 납득이 되지 않는 배터리 소모인데요.


GPU 성능을 떠나 엑시노스 9820의 국내판이 같은 프레임의 게임 플레이에 CPU 부하가 거의 2배 정도가 걸리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앞선 리뷰에서도 CPU 테스트인 긱벤치 테스트에서 30% 이상 배터리 소모율가 차이난다는 말씀을 드린 바 있는데요.


게임을 플레이 할 때도 당연히 GPU만 사용이 되는 건 아니겠죠! 위에서 보시다시피 CPU 부하로 인한 배터리 소모라고 밖에는 생각할 수 없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홍콩판의 경우에는 최대 프레임으로만 플레이를 해서 저옵션(?)의 배터리 소모는 알 수가 없는데요.


국내판은 기본 설정인 HD에 높음 설정으로는 20여분 플레이에 약 10% 정도의 배터리가 소모된 걸 봤을 때, 프레임 옵션에 따른 CPU 부하와 이로 인한 배터리 소모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인 걸로 생각이 됩니다.


물론 화면 밝기를 낮추면 조금은 나아질 수도 있겠지만 아몰레드 특성상 최대 밝기와 최저 밝기 간의 사용 시간 차이가 그리 크지 않은 만큼 LCD에서 만큼의 효과를 기대하기도 어렵습니다.


앞선 리뷰의 배터리 소모 차이는 애교 수준(?)이었다는 건데요.


배틀그라운드 최대 프레임 기준으로는 홍콩판이 3시간 정도 플레이가 가능하다면 국내판은 그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과연 말리 문제일까! 엑시는 뻥투투 욕하지 마라!!


보통은 엑시노스에 탑재한 말리 GPU가 구려서 게임 성능이 떨어진다는 얘기들을 많이 합니다. 국내판 삼성 제품을 사용할 일 이 없는, 그리고 게임도 거의 하지 않는 저도 그렇게만 생각을 해오고 있었는데요.


말리 GPU는 삼성만 사용을 하는게 아니죠! 화웨이와 미디어텍 또한 말리 GPU를 사용하고 있는데 미디어텍의 경우에는 플래그쉽 AP가 없으니 일단 열외! 


화웨이의 플래그쉽 AP인 Kirin980이 이 갤럭시 S10e 국내판보다는 성능이 조금 떨어지는 Mali-G76 MP10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안투투 점수 기준으로는 스냅드래곤 845보다도 떨어지는 약 10만점 정도가 되구요!


같은 말리 GPU에 성능 자체도 조금 떨어지는 걸로 알려져있으니 화웨이 플래그쉽 기기들도 엑시노스를 탑재한 국내판 갤럭시와 마찬가지라 생각을 하시겠죠??


그런데 그게 그렇지가 않습니다. 


요즘은 유튜브 리뷰들 좋아하는 분들이 훨씬 많으니 직접 Kirin 980 PUBG 정도로 검색을 해보세요. 제가 아무리 얘기를 하는 것 보다는 그게 훨씬 더 나을 겁니다.


제가 이 갤럭시 리뷰를 시작하기 직전에 리뷰했던 모델이 바로 이 Kirin 980을 탑재한 Honor V20이었기도 하구요! 


저는 게임을 하질 않지만 실사용에서 느끼는 체감 차이가 있기도 했지만, 같은 말리 GPU를 사용했음에도 실제 게임 플레이 영상 리뷰나 사용자들의 평가는 전혀 다릅니다. 


엑시노스를 탑재한 국내판 갤럭시 S10e, 앱 실행 느리고 게임 성능 떨어지고! 거기에 배터리 소모는 덤?


보통 뻥투투라고 욕을 많이 하는 안투투지만 지금 상황에서는 엑시노스 탑재한 기기들의 경우에는 안투투 앱 제작사에 삼성이 절이라도 해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물론 이미 안투투 앱 파트너사 중에 삼성이 포함되어 있기도 합니다만!!


기기들을 수령한지 보름이 되어가는 시점인데 핸들링해보면 할 수록 왜 같은 이름을 붙여서 판매를 하고 있을까라는 의문만 깊어져 갑니다!




이 포스팅은 네이버 리퍼비쉬팩토리 포럼의 "개인 블로그 시즌 4" 행사를 통해

소정의 원고료를 제공받고 작성된 글임을 알립니다.


그렇지만 블로거 육성 & 지원이라는 행사 취지에 따라
포스팅은 일체의 간섭도 없이 제 소신껏 작성 되었습니다!!


반응형

댓글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삼성 갤럭시 S10e 홍콩판 vs 국내판 최종 리뷰 - 같은 이름, 다른 스마트폰!

    삼성 갤럭시 S10e 홍콩판 vs 국내판 최종 리뷰 - 같은 이름, 다른 스마트폰!

    2019.04.26
  • 삼성 갤럭시 S10e 홍콩판 vs 국내판 비교 리뷰 - 국내판 사용자, 카메라 어쩔!!

    삼성 갤럭시 S10e 홍콩판 vs 국내판 비교 리뷰 - 국내판 사용자, 카메라 어쩔!!

    2019.04.18
  • 삼성 갤럭시 S10e 홍콩판 vs 국내판 비교 리뷰 - 카메라, 야간 사진은 많이 달라!

    삼성 갤럭시 S10e 홍콩판 vs 국내판 비교 리뷰 - 카메라, 야간 사진은 많이 달라!

    2019.04.10
  • 삼성 갤럭시 S10e 홍콩판 vs 국내판 비교 리뷰 - 배터리부터 다른데??

    삼성 갤럭시 S10e 홍콩판 vs 국내판 비교 리뷰 - 배터리부터 다른데??

    2019.04.08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아이모(IT&모바일)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아이모(IT&모바일)

  • 아이모(IT&모바일)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홈
  • 방명록

카테고리

  • 아이모(IT&Mobile) (2826)
    • 최신 리뷰 (8)
    • 모바일(CN) (931)
      • 샤오미(Xiaomi) (737)
      • 화웨이(Huawei) (24)
      • 원플러스(OnePlus) (12)
      • 에이수스(Asus) (5)
      • 레노버(Lenovo) (107)
      • 오포(OPPO) (5)
      • ZTE (12)
      • 스마티산(Smartisan) (4)
      • LeEco(LeTV) (10)
    • 모바일(Global) (735)
      • 애플(Apple) (382)
      • 구글(Google) (25)
      • 엘지(LG) (43)
      • ㅅㅅ (165)
      • 소니(Sony) (26)
      • 노키아(Nokia) (6)
      • 윈도우(Windows) (32)
      • Others (24)
    • 아이모 픽스 (33)
      • 미니PC (2)
      • 외산폰 & 태블릿 수리 (23)
      • 외산폰 & 태블릿 직구 (3)
    • IT Acc (627)
      • 생활 속 IT (51)
      • 통신서비스 (111)
      • Wearable (81)
      • 초월광보합 - 추억의 오락실 (17)
      • IT 체험단 활동 (39)
    • 블로그 운영 (154)
    • 해외직구 (215)
    • 살아가는 이야기 (113)
      • New SPORTAGE (10)
      • 포켓몬Go (6)
      • 리눅스 (25)

최근 글

인기 글

댓글

공지사항

  • 공지 - 보잘 것 없는 리뷰지만 기준과 방향은 있습니다!
  • 공지 - 리뷰 / 제휴 요청시 참고사항
  • 공지 - 불펌은 절대 사절 합니다!

아카이브

태그

  • 유튜버수입
  • 구글광고
  • 타오바오 직구
  • 블로그 광고
  • 블로그수입
  • 블로그애드센스
  • 애드센스
  • 타오바오 배대지

나의 외부 링크

  • 리뷰해라! 로샤
  • 프라치노 공간
  • 블로거팁닷컴
  • 리뷰 쓰는 슈나우저
  • 코카콜라마시따
  • Rendezvous
  • 아리따움 ; Kiss Me
  • RootKR의 IT 스토리
  • 내안의 디지털 세상
  • 디셉의 블로그 공간
  • 세상을 날으는 기억상자
  • 좋은생각이야
  • 無限四季
  • H. Jay's Dream Theatre
  • 히로리의 일상저장소
  • 닻별이의 IT 어플 사이트 리뷰ⓐ
  • I only Divide Me
  • 가야태자의 IT이야기
  • 슈나우저의 블로그
  • 가야태자의 블로그 2호점
  • OpenEidos
  • 목적지와 관계없는 방랑에 부여하는 가치...
  • The Story of YunFollicle
  • 목사마의 소소한 이야기
  • Dmasters 블로그
  • 배불뚝이 일기장
  • MINU HOME - 미누 홈
  • 축구
  • 개발자 살리에리
  • 입소문마케팅
  • ANST
  • New_아이모

정보

애기늑대의 아이모(IT&모바일)

아이모(IT&모바일)

애기늑대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RSS 피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 애기늑대.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