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출하대수로만 따지자면 넘사벽이 바로 중국!
외산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라면 이제 중국 스마트폰을 제외하고는 떠올리기가 힘들 정도로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고 봐도 될 텐데요.
출하대수가 아무리 많다 하더라도 그 절반 이상은 중국 내수용으로 사용이 될 뿐이고, 국제 정세 등 여러 문제로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구글 기반의 사용환경과 또 다른 것이 바로 중국 내수용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입니다.
물론 같은 모델이 다른 국가에도 판매가 되면서 글로벌 버전이 존재하는 기기라면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는데요. 이제 막 리뷰를 시작한 레드미 K30 5G와 같이 중국 내수용 모델만 존재하는 기기라면 조금 더 나은 사용성을 위해 커스텀롬을 설치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나은 방법일 겁니다.
샤오미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순정롬 외에 다른 커스텀롬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부트로더 언락을 먼저 진행을 해야 하는데요.
레드미 K30 5G의 경우에도 부트로더 언락을 위한 계정 바인딩 후 정확히 168시간 이후에 부트로더 잠금을 해제할 수 있었습니다.
▶ 참고 : 중국 내수용 홍미노트8, 필수 설정 3가지?
일반적으로 중국 내수용 샤오미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불편함을 느끼는 부분은 한글 문제와 구글 서비스 연동 문제의 2가지 정도! 개인적으로는 여기에 중국 내수용 샤오미 스마트폰에 포함된 Ai 검색 기능도 꽤 거슬리는 기능 중 하나입니다.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가장 빠른 방법은 샤오미 스마트폰이 출시가 되면 거의 엇비슷하게 배포가 되는 xiaomi.eu포럼의 eu롬!
올초 리뷰했던 K30의 경우에는 제대로 된 TWRP도 배포가 되질 않아서 eu롬 또한 FASTBOOT을 이용한 편법(?)으로 설치가 가능했었지만, 이제는 베타 버전에 불과하더라도 TWRP가 배포가 되고 있어서 예전 샤오미 스마트폰들과 마찬가지로 조금 더 수월하게 eu롬을 설치해볼 수 있습니다.
▶ TWRP for Redmi K30 5G by LR.Team (Password : eexd)
구글링을 통해서도 여러 버전을 만나볼 수 있지만 MIUI 최신 안정롬인 11.1.18.0에서 그나마 TWRP가 동작을 하는 건 LR.Team에서 배포하고 있는 위 링크의 TWRP 하나 정도였구요.
물론 이 버전도 eu 안정롬 11.1.18.0을 설치하게 되면 TWRP 재진입시에 화면이 제대로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 문제가 아직 남아있는 걸로 보입니다.
아직은 약간의 불편함이 남아있더라도 실사용을 위한 eu롬 구동은 전혀 문제가 없기 때문에 개발자 버전 등 여러 버전 테스트 후에 eu안정롬 11.1.18.0에 정착을 한 상태이구요.
처음 설치를 했을 때에는 KT VoLTE 동작이 조금 이상했지만 MIUI China Stable 11.1.18.0을 FASTBOOT으로 클린 설치 후 다시 eu롬을 설치하니 이 또한 해결이 되어서 이제 본격적인 실사용 테스트를 해볼 수 있을 거라 생각 됩니다.
지금까지의 테스트 결과로는 SKT/KT VoLTE는 OMD 등록과 Carrier Check Disable 정도 만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유플러스 VoLTE는 제대로 동작을 하지 않는 걸로 보이는데요. 어차피 5G 테스트를 유플러스 망으로 진행할 예정인 만큼 VoLTE 부분도 해결 방법이 있는지 같이 살펴봐야 할 듯 합니다.
아직 제대로 된 TWRP가 없어서 그랬던 거겠지만 이번 eu롬 설치는 그리 매끄럽진 못했는데요.
그나마 경험이 많은 제가 이런 정도라면 일반 사용자들은 아무리 가성비가 뛰어나도 쉽게 접근하기 힘들지 않을까 생각이 되기도 하지만 이번 K30 5G 리뷰는 5G 사용성 테스트가 가장 큰 목적이니까요!!
5G를 이용한 데이터 사용과 4G(LTE)를 이용한 VoLTE간의 전환까지 별 무리가 없어야 외산 스마트폰으로 5G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무리가 없다고 볼 수 있을 테니 최대한 다양한 환경에서 테스트를 해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