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초 샤오미에서 브랜드가 분리된 레드미(홍미, 紅米)!
올초 K30 리뷰를 시작할 때만 하더라도 K30 5G는 판매 예정이었고, 굳이 중국산 5G 스마트폰을 리뷰할 의미가 있을까 생각을 하고 있었지만 연이어 들리는 소식들은 모두 5G를 겨냥하고 있습니다.
샤오미/레드미에서도 이제 RMB 2000(표준모델 기준, 약 350,000원)이 넘는 LTE 스마트폰은 발표하지 않겠다는 공식 코멘트가 있었고, 그 이후 인도에서 발표된 홍미노트 9 시리즈를 제외한다면 올해는 해외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들도 5G 스마트폰이 대세가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되구요.
여러 제조사의 플래그쉽들은 5G가 탑재되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겠지만 플래그쉽을 넘어 중급기들도 5G를 기본으로 출시가 될 걸로 보이는 만큼 해외 중저가 5G 스마트폰의 국내 사용성을 확인해보는 차원에서 K30 5G 리뷰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개봉기 등 K30 리뷰를 통해서 알아볼 수 있는 부분이 많은 만큼 K30 5G는 앞서 진행된 K30 리뷰들과의 차이와 5G 서비스 호환성을 위주로 진행을 해볼까 합니다!
"레드미 K30 5G, K30과 같지만 살짝 다른??"
레드미 K30 5G는 K30의 형제 모델인 만큼 별도의 개봉기를 진행할 이유를 찾을 수 없습니다.
제가 리뷰하는 K30 5G 6/64GB 모델은 앞서 진행된 K30 대비 후면 색상 정도와 플래시 아래 쪽에 인쇄된 5G 문구 정도만 다르다 생각을 하시면 좋을 테구요!
액정 사이즈는 물론이고 전면 우상단의 듀얼 펀치홀 카메라나 지문인식 센서가 포함된 전원버튼 등 겉으로 보이는 외형만 가지고는 K30과 구분을 하는데에는 조금 무리가 있습니다.
K30 5G와 K30은 외관이 아니라 제품 박스와 스펙, 그리고 구성품에서 조금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데요.
제품 박스 우상단과 좌우 제품명 뒤에 인쇄되어 있는 "5G"가 첫 번째 차이점일 테구요!
외형 외에 마이크로 SD 확장이 가능하던 K30에 비해 K30 5G는 외장 메모리 사용이 불가능한 듀얼심 트레이라는 정도가 두 번째 차이점일 겁니다.
그리고 최대 27W 충전기가 포함되었던 K30에 반해 K30 5G의 번들 충전기는 최대 10V 3A, 30W 출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제가 발견한 마지막 차이점입니다.
AP에서의 업그레이드는 분명하지만 외장 메모리를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을 아쉬워하는 분들이 무척 많지 않을까 생각이 되는데요. 구매를 고려하는 분들이라면 6/64GB 스탠다드 모델이 아닌 대용량 메모리를 선택하는 것이 조금이나마 사용 기간을 늘이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K30과의 차이점만을 가지고 간단하게 비교를 해봤는데요.
좀 더 상세한 개봉기가 궁금한 분들은 아래 K30 개봉기 또는 유튜브 영상을 참고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유심 꽂자마자 5G? 얘네들도 사기치네!! ㅡ.ㅡㅋ"
작년 초 우리나라 스마트폰들도 실제 5G 서비스와는 무관하게 유심만 넣으면 시그널이 5G로 디스플레이 되어서 사용자들을 혼란스럽게 하는 일이 있었는데요. 이건 중국 또한 마찬가지인가 봅니다.
부트로더 언락을 위해 유심을 넣자마자 시그널에는 5G!
테스트를 위해 가지고 있는 KT 알뜰폰 회선이라 5G일리도 없고 LTE 회선임에도 5G로만 디스플레이가 되고 있구요. 옵션에서 LTE 우선으로 변경을 해줘야 이 시그널은 변경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스마트폰들은 작년 초 그나마 실사용 시그널을 표기하는 옵션들이 생겨났지만 K30 5G는 그런 메뉴는 흔적조차 찾을 수 없었구요. 중국도 5G 서비스 커버리지가 그리 넓지는 않은 만큼 그걸 숨기기 위한 방편의 하나가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K30 5G는 중국 안정롬 MIUI 11.1.15.0부터 우리나라 VoLTE에 대응이 되었다는 코우지님의 정보가 있기도 했는데요.
▶ K30 5G 중국 안정롬 11.1.15.0 EFS 추출 자료 by 코우지
작년 하반기부터 샤오미의 펌웨어 설치가 까다로워져서 개발자롬은 물론이고 안정롬이지만 베타 버전인 이 버전은 베타 테스터로 등록이 되거나 부트로더 언락이 되어야지만 설치가 가능해서 부랴부랴 계정 인증 후 부트로더 언락부터 등록을 했습니다.
K30 5G의 부트로더 언락 대기 시간은 168시간!
유심을 넣고 계정 인증 후에는 잘못 핸들링 하다간 이 부트로더 언락 대기시간이 대폭 늘어날 수도 있다고 하는데요. 기본적인 테스트만 진행을 하면서 다른 작업은 하지 않아야 할 듯 합니다.
물론 POCO X2의 롬을 사용하면 되는 K30과는 다르게 글로벌롬이 존재하지 않는 K30 5G라 부트로더 언락만 된다면 바로 eu롬으로 가야할 듯 하구요!!
"외산폰으로 우리나라 5G 서비스, 가능할까??"
작년부터 시작된 5G 서비스라는 통신 환경의 변화!
일반적으로 외산 스마트폰이 우리나라 스마트폰들보다 저렴하다지만 5G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국내외를 가리지 않고 스마트폰 가격 자체가 많이 인상된 상황입니다.
레드미 K30 5G 또한 출고가 기준으로 부가세가 포함된다면 30만원 후반대로 지금까지 생각하던 샤오미 스마트폰의 가성비라는 관점에서는 많이 부족할 수 있지만, 우리나라 5G 서비스도 외산 스마트폰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인지 그 가능성을 확인해본다는 점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물론 스냅드래곤 765G라는 미드레인지 최고 AP의 성능에 대한 부분도 살펴볼 테지만 플래그쉽이 아닌 중급기에서의 5G 서비스가 어떨런지 개인적으로도 무척이나 궁금해집니다.
이 포스팅은 네이버 리퍼비쉬팩토리 포럼의 "개인 블로그" 행사를 통해
소정의 원고료를 제공받고 작성된 글임을 알립니다.
그렇지만 블로거 육성 & 지원이라는 행사 취지에 따라
포스팅은 일체의 간섭도 없이 제 소신껏 작성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