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의 기본이 되는 AP와 배터리 성능 테스트에서 너무 좋은 결과를 냈던 원플러스5! 당연히 나머지 기능들에 대한 기대도 올라갈 수 밖에 없었는데요.
화웨이의 경우처럼 AP 성능이 괜찮다 하더라도 국내 통신환경과는 조금 맞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물론 실사용에 큰 지장은 없다지만) 중국 스마트폰인지라 약간의 걱정이 되는 것 또한 사실이구요.
이런 차이들은 펌웨어에서 오는 걸 수도 부분이기 때문에 아무리 구글 순정에 가깝다는 원플러스5의 산소롬이라 하더라도 확인해보지 않을 수는 없죠.
이번 포스팅은 AP와 배터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전반적인 부분들에 대한 테스트 결과 입니다.
OnePlus 5 LTE & Call Test |
약간의 걱정은 있었지만 역시나 스냅드래곤을 장착한 스마트폰 답게 SKT LTE는 하향 200Mbps대의 속도로 상당히 괜찮은 속도를 보여줬습니다. LTE CA 또한 기본이구요.
재밌는 것은 KT의 경우에도 하향 100Mbps 초반대로 준수한 속도를 보여주고 있구요. KT 역시 LTE CA로 접속이 되더군요. 샤오미 등 타사 플래그쉽들은 KT LTE CA가 잘 붙질 않던데 이건 어떤 이유에서인지 조금 궁금해지기도 합니다.
원플러스5 역시 LTE CA 접속시에는 상태바의 통신 시그널 4G 옆에 "+"가 작게 표시가 되어 구분이 되니 사용자분들은 한 번 확인해보심이 좋을 듯 하네요.
지금까지 여러 스마트폰들을 리뷰를 해왔지만 화웨이의 Kirin이나 미디어텍AP보다는 퀄컴의 스냅드래곤 AP를 사용하는 기기들이 우리나라 LTE 사용에서는 더 우월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네요.
유플러스의 LTE 주파수도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APN 또한 기본적으로 입력이 되어 있습니다만 (우리나라)VoLTE 미지원으로 테스트에서는 제외했습니다. 그리고 어쩐 일인지 유플러스는 유심은 인식을 합니다만 통신망에 접속이 되질 않더군요.
SKT나 KT의 경우에도 VoLTE는 지원되지 않고, OMD 등록도 하지 않은 상태입니다만 통화음질은 상당히 깨끗했습니다. 샤오미 등 중국 스마트폰 사용하시면서 통화품질에 불만족 하셨던 분들이라면 이 부분에서 만큼은 확실히 만족을 하실 수 있을 듯 싶네요.
OnePlus 5 WiFi Test |
와이파이의 경우에도 상당히 훌륭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5GHz(KT 기가컴팩트+TM AC1900)에서는 지금까지 테스트해봤던 여러 스마트폰 중에서 제일 빠른 속도를 보여줬구요. 특히나 업로드가 400Mbps가 넘는 결과는 저 또한 처음 보네요. 보통은 다운로드 속도보다 떨어지는게 일반적이었는데요. ^^
중국 스마트폰들이 보통 2.4GHz는 802.11n 72Mbps로만 접속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원플러스5는 그런 모습 또한 보이질 않았고 속도 또한 준수합니다.
LTE 성능 또한 마찬가지였지만 네트워크 성능으로는 최상의 경험을 선사할 수 있는 기기가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OnePlus 5 FHD AMOLED Display |
100% 밝기로 11시간이 넘는 유튜브 연속재생 시간! 테스트 시에는 다른 기기보다 화면 밝기가 조금 어두운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만 제 착각이었더군요.
실제로 갤럭시S8 역시 최대 밝기로 설정해서 두 기기를 비교해보니 오히려 원플러스5 디스플레이가 더 밝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어느 제조사의 AMOLED 패널인지는 모르겠지만(이전 시리즈들은 삼성 액정을 사용했다고 하니 원플러스5도 마찬가지일 듯) 유튜브 영상 재생시에 눈이 편안하면서도 색감이 훌륭하다는 느낌을 받았구요.(상:갤럭시S8 / 하:원플러스5)
FHD의 해상도는 조금 아쉬움으로 다가옵니다만 VR 등의 악세사리 쪽으로는 아직 원플러스가 생각이 없는 듯 하니 이를 통해 조금의 원가절감을 이뤄냈다 보는게 맞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민감하신 분들은 모르겠습니다만 FHD 기기로도 현재까지 나와있는 스마트폰용 VR 렌즈를 사용하는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느꼈었습니다.
이 외에도 젤리 스크롤 이슈라는, 스크롤시 화면이 늘어나는 현상이 보고 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저 역시도 웹브라우징이나 유튜브 재생목록을 볼 때 마찬가지 현상을 느끼긴 했습니다만 사용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닌 듯 하더군요. 액정을 상하 반대로 부착했을 때 나타나는 증상이라는 얘기들이 있습니다만 글쎄요. 실제로 제조상의 문제라 하더라도 리콜이 이루어질 것 같진 않네요. ㅡ.ㅡㅋ
OnePlus 5 Rear Camera Test |
어느 제조사든 자사 스마트폰 카메라 성능을 강조하고 있습니다만 대부분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리뷰를 작성하기 전에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샘플들은 언제나 참고를 합니다만 원플러스5는 저조도 샘플 사진에서 노이즈가 그대로 보이는 사진을 게재해서 조금 의아하기도 했앴었는데요.
실내에서 주간과 비슷한 조건으로 외부조명을 사용해서 촬영해보니 결과물은 샘플과 마찬가지로 상당히 훌륭했습니다.
▶ 외부조명(약 5200K) 원본 : https://goo.gl/UYCVyi
저조도에서도 샘플과 마찬가지로 주변에 노이즈가 꽤 많이 발생을 하고 있구요. 이 정도 노이즈는 삼성과 화웨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정도로 보이구요.
▶ 실내 촬영 원본 : https://goo.gl/scL6UD
그래도 다행인 것은 수동노출로 이런 노이즈는 잘 잡힌다는 점(수동이면 다 잡히는 거 아니냐구요? 안 잡히는 폰도 있더라구요)! 물론 OIS가 없으니 손각대가 부실하다면 사용에는 무리가 있을 테지만 말이죠.
▶ 실내 수동노출(프로모드) 촬영 원본 : https://goo.gl/BPa6LT
일반적인 촬영은 스냅드래곤을 사용한 타사 스마트폰들과 큰 차이는 없다고 보여집니다만 포트레이트 모드 만큼은 지금까지 촬영해봤던 듀얼카메라 채용 기종 중 제일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네요. 전체적으로 블러처리 문제가 없고 아래 샘플에서 빨간 원으로 표시해둔 부분 외에는 상당히 뛰어난 표현력이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 포트레이트(인물촬영) 원본 : https://goo.gl/mQEiRF
우리 나라에는 아무래도 샤오미가 가장 많이 사용이 되다보니 중국 스마트폰 카메라가 비교적 저평가되고 있습니다만 샤오미 외에 화웨이나 원플러스, 누비아 정도라면 저조도에서만 갤럭시 플래그쉽에 조금 밀릴 뿐 나머지 부분은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따라왔다 보셔도 되지 않을까 합니다. 사활을 걸고 원가절가한 LG G6는 광각 말고는 비빌만한 건덕지가 없구요.
오랜 만에 탐나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원플러스5 |
제가 구매한 기기가 아니라서 이런 글을 쓰게 되면 괜한 홍보성 멘트 아니냐는 오해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만 원플러스5 만큼은 정말 탐나는데요? 갤럭시S8을 쓰면서도 이 정도로 좋은 느낌을 받지는 않았었는데 말이죠.
퀄컴 스냅835의 강력한 성능과 그를 받쳐주는 나머지 기능들! 요즘 플래그쉽 스마트폰의 트랜드(?)인 방수 기능의 부재가 아쉽지만 상당히 매력적인 스마트폰 아닐까 싶습니다.
거기다 갤럭시S8이나 LG G6 등 타사 플래그쉽 대비 절반이 조금 넘는 50만원 초반대의 가격을 생각하자면 중국 스마트폰의 가성비라는게 샤오미나 기타 제조사 스마트폰이 아닌 원플러스5를 얘기하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지금은 다른 기기들을 여럿 보유 중이라 직접 구매하는 건 자제하겠습니다만 다음 원플러스6 정도는 저도 한 번 노려봐야겠습니다. ^^
이 포스팅은 네이버 리퍼비쉬팩토리 포럼의 "개인 블로그 시즌3" 행사를 통해
기기 대여와 소정의 원고료를 제공받고 작성된 글임을 알립니다...
그렇지만 블로거 육성 & 지원이라는 행사 취지에 따라 포스팅은 일체의 간섭도 없이 제 소신껏 작성 되었습니다...
댓글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