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터리 광탈의 원인은 여러 가지 입니다... 제 사례는 툴로 직접 찾은 부분이고 다른 분들도 동일하리란 보장은 없습니다...
※ 스샷 중 테스트 시간이 짧은 샷들이 있습니다만.. 찍어둔게 그것 뿐입니다... 충분한 시간 테스트 했습니다~
갤럭시 알파의 배터리 광탈로 고민한게.. 벌써 사나흘 된 거 같은데...
이제서야 어느 정도 원인이 파악 된 거 같습니다...
루팅을 했으면 벌써 찾았겠지만.. 루팅은 이제 그만하기로 마음 먹은지라.. ㅡ.ㅡㅋ
주말에 Debloater라는 좀비어플 비활성화 툴도 이용해봤습니다만...
이 툴도... 100% 완벽하게 동작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좀 있더군요...
그래서 다시 고민...!!!
기본 전제는.. 공초 후 대기배터리는 허용할 만한 수준이다...
롤리팝도 Odin으로 밀어버린 후에는.. 마찬가지로 광탈하진 않는다.. 였습니다...
그냥 던져버릴까 하다가... 다시금 힘을 얻은게...
루팅을 하지 않더라도 Wakelock Detector 어플을 사용할 수 있다는 부분이었습니다..
(http://forum.xda-developers.com/showpost.php?p=48149239)
롤리팝을 Odin을 이용해서 올리고.. 아무 것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터리가 문제 없었습니다...
그렇지만 어플 설치 후에는 화면이 꺼진 후에도 딥슬립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CPU는 계속 돌아가는 상태...
어플이 문제였을까... 고민도 해보면서 차근차근 설치해봤습니다만..
그건 답이 아니었고...
결국 찾은 부분이.. Google Play Service 였습니다...
아래 스샷은 킷캣부터 롤리팝 최신펌에 포함되어 있는...
Google Play Service 6.7.xx 버전이었던 걸로 기억이 됩니다..(스샷을 못해서...ㅠ.ㅜ)
보시다시피... 정상적으로 딥슬립 진입도 되고.. 대기배터리도 나쁘질 않습니다...
문제는 Google Play Service를 업데이트 하고 나서 시작이 됩니다...
사용하는 어플 중에.. Google Keep / 행아웃 / 후후 가.. Google Play Service 최신 버전을 요구하고...
아무 생각없이 업데이트 했는데.. 결국 여기서 문제 발생..
아래 스샷 왼쪽은 6.7.xx.. 오른쪽이 갤알파의 최신 버전인 8.1.15 입니다...
2010년 7월 스마트폰 사용을 시작하면서... 블루투스를 꺼놓고 사용해본적이 없습니다...
이어셋을 자주 사용하니 그 때 그 때 블투를 켠다는게 귀찮아서죠...
그런데 이 사용습관이 충돌을 일으켰네요...
오른쪽 스샷과 같이 블루투스 검색을 계속 하는지... CPU가 계속 돌아갑니다...
세부내용은 bluedroid_timer란 녀석인데...
갤알파의 8.1.15.. 그리고 노트5의 8.1.18에서도 알파처럼 심하지는 않지만 동일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Google Play Service의 문제다.. 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이게 또 다른 장비에서는 문제가 없습니다...
불법패드로 유명한 LG G Pad 7.0(AT&T V410)의 경우..
Google Play Service가 8.1.15인데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호출은 볼 수가 없습니다...
더 다양한 장비로 테스트 해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만...
그럴 형편은 안 되니...
원인은... 2가지 정도 생각해 볼 수 있겠죠...
1. Google Play Service 자체의 오류
2. 삼성전자의 최적화 오류 또는 사용된 칩셋의 문제...
2번 쪽이 더 의심이 가는 것이... 롤리팝을 삼성이 커스터마이징을 했다는 것과...
롤리팝 펌웨어인데도 불구하고... 작년 하반기 펌에 포함되었던 Google Play Service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다는 점... 정도가 되겠네요...
Google Play Service 자체가 문제라면.. 불법패드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야 했다는 것도 생각해야 하는 부분이구요...
블루투스를 끄면 해결이 되는 부분입니다만... 사용 상에 불편하기에...
급하게 Tasker로 프로파일 만들어서 운용 중 입니다...
Google Play Service를 업데이트 안 하면.. 또 사용이 가능하겠습니다만..
그랬다간 어플들을 이용 못하니.. 그건 안 될 말이구요...
결과는... 기존에 사용하던 동기화 그대로 유지하면서(지메일 / Folder Sync 등등) 시간당 0.8~0.9% 정도 배터리가 빠지네요...
배터리 문제로 삼성전자 서비스센터 다녀온 분들은.. 기사님들께 많이 들은 얘기가 있을 겁니다...
"순정으로 써라...", "공장초기화 하면 된다..."
스마트폰을 전화기로만 쓰라는.. 별 시덥잖은 말입니다만.. 저런 이유로 인한 게 아닐까 생각이 됩니다...
하드웨어는 최고로 만들 수 있지만 최적화에는 자신이 없어서 그런게 아닐지...
"
공감은 로그인이 필요 없습니다...
한번 눌러주실 때마다.. 쥔장의 전투력(?)이 상승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