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도 일부 미국 메이저 통신사들이 그러하듯이 아이폰 역시 미국 제품인 만큼 싱글심만 고집을 하다가 듀얼심이라는 걸 도입한 것이 2018년 아이폰 XS 시리즈부터였습니다.
그렇지만 첫 듀얼심 아이폰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 흔히 보던 유심 두 개가 들어가는 방식이 아니라 물리심 하나와 eSIM 하나가 탑재된 구조였고요. 여기에 eSIM이 허용되지 않는 중국을 배려해서 중국/홍콩/마카오 지역 한정으로 유심 2개를 사용할 수 있는 아이폰을 출시하고 지금까지는 출시 지역에 따른 구분이 달라지진 않았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식 출시된 일부 샤오미 스마트폰을 제외하고는 이 eSIM을 탑재한 아이폰들도 싱글심으로만 사용이 가능하다가 작년 말에서야 Tplus라는 알뜰폰을 통해서 제한적으로 eSIM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일찌감치 외산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듀얼심에 익숙해진 입장에서 아이폰 XS Max에서야 만나볼 수 있었던 듀얼심 아이폰은 무척 반가웠지만 아직까지 eSIM과 물리 듀얼심, 이 두 가지 방식의 장단점이 명확하게 구분이 되기 때문에 아이폰에 듀얼심을 사용하고자 하는 분들은 조금의 고민이 필요할 듯합니다.
"통신사의 적(?) eSIM, 아직 갈 길이 멀다!"
유심을 발급받지 않아도 온라인에서 바로 개통이 가능한, 그리고 하나가 아니라 여러 개의 번호를 개통해서 필요할 때마다 원하는 번호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들을 가지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이 보이는 것이 eSIM입니다.
eSIM으로 듀얼 SIM 사용하기
iPhone XS, iPhone XS Max, iPhone XR 및 이후 모델은 nano-SIM 1개와 eSIM 1개로 듀얼 SIM 기능을 제공합니다.1 eSIM은 물리적인 nano-SIM을 사용하지 않고도 이동통신사의 셀룰러 요금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디지
support.apple.com
아이폰의 듀얼심, eSIM에 대해서는 애플 홈페이지에서도 간략하지만 명료하게 설명을 하고 있는데요.
가장 중요한 것이 eSIM으로는 이용할 수 있는 통신 상품이 아직 제한적이라는 점, 내년 7월 이후 우리나라에도 본격 사용이 논의되고는 있다지만 유심 판매 역시 통신사 수익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우리나라에서는 통신사의 모든 상품을 eSIM으로 사용하는 건 언제가 될지 기약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아무리 매력적인 요금제라도 eSIM 개통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사용할 수 없다는 얘기이고요.
eSIM으로 개통된 요금제는 해당 아이폰에서만 사용이 가능할 뿐, 사용자의 필요성에 의해 다른 스마트폰으로 옮겨 사용하는 것 역시도 불가능합니다.
위 애플 설명을 보면 eSIM을 지원하는 다른 스마트폰으로 이동해서 사용하는 건 가능할 것 같지만 스마트폰에서 스마트폰으로 eSIM을 옮기는 것이 아니라 처음 개통을 할 때와 마찬가지로 이동할 스마트폰에 eSIM을 다운로드하는 것뿐이라 어떻게든 통신사를 경유해야 한다는 거죠!
지금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서비스하는 tplus에서도 유심을 다운로드할 때마다 2,750원의 eSIM 다운로드 비용을 부과하고 있는데요.
저 2,750원은 eSIM 다운로드 서비스를 위한 라이선스 비용이라고 알려져 있고, 사용자의 용도 변경으로 인해 필요한 경우 큰 부담이 아닐 수도 있지만 사용하던 번호라 하더라도 고객센터에서 지원하는 시간 동안만 eSIM 다운로드가 가능하다는 건 물리 유심에 비해서는 유연성이 떨어진다고 봐야 할 겁니다.
특히 eSIM을 보조 회선 정도로만 사용한다면 큰 문제가 아닐 수도 있지만 메인으로 사용한다고 가정해본다면, 지금과 같이 추석 연휴 기간에 아이폰이 고장이어도 급하게 다른 아이폰 등에 회선을 옮길 방법이 전무하다는 얘기가 되는 겁니다.
"eSIM의 단점은 물리 듀얼심의 장점이지만"
이런 eSIM의 단점들은 물리 듀얼심을 사용할 때는 전혀 고려할 이유가 없죠!
아직까지는 물리심을 사용한 통신사 이용이 글로벌 표준이라 국내에서 마음에 드는 요금제를 어느 때나 개통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물론이고 해외여행을 할 때도 마음에 드는 여행자용 요금제를 골라 유심만 구입해서 넣으면 그만입니다.
그리고 통신사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가 원할 때, 원하는 곳에 유심을 넣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실사용에서는 무척 편리한 부분인데요!
그렇지만 우리나라에서 아이폰 물리 듀얼심을 사용한다는 건 다른 제한이 조금 따릅니다.
가장 먼저 전 세계에서 물리 듀얼심을 지원하는 아이폰은 중국/홍콩/마카오에서만 구입할 수 있습니다.
중국 버전의 아이폰은 FACETIME 사용이 불가능하니 물리 듀얼심을 사용하려면 홍콩/마카오 버전의 아이폰을 구매할 수밖에 없다는 점인데요.
홍콩판 아이폰이라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데 기술적인 차이는 없지만 판매지역에 따른 로컬 서비스만 제공하는 아이폰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에서 애플의 정식 서비스를 받지 힘들다는 점이 고려가 되어야 할 테고요.
(저 역시도 아이폰 XS Max에 이어 메인으로 사용 중인 위 사진의 아이폰 12가 홍콩판입니다!)
그게 아니라면 심 슬롯이 모듈화 된 일부 아이폰 모델을 듀얼심 슬롯으로 개조를 하는 방법도 있는데요.
홍콩판 아이폰을 구입한다면 담당 엔지니어의 판단에 따라 제한적인 서비스가 가능할 수도 있지만 이런 개조 작업을 거친 아이폰은 방수 기능이 무력화되는 건 물론이고 보증 기간과 무관하게 애플의 정식 서비스에서는 완전히 멀어진다는 점을 가장 큰 단점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단점이 있다 하더라도 아이폰에 물리 듀얼심을 사용해야 하는 목적이 분명하다면 거기에 대한 판단은 사용자가 직접 해야 하는 걸 테고요!
"아이폰 12 시리즈는 이제 개조도 괜찮지 않을까!"
지난주 아이폰 13 시리즈가 발표가 되었습니다.
아이폰 13 시리즈 역시도 중국/홍콩 등 일부 지역에만 물리 듀얼심 아이폰이 판매가 되고 나머지 지역은 모두 싱글심 + eSIM의 듀얼심이라고 봐야 할 텐데요.
아이폰 XS Max부터 듀얼심 아이폰을 사용하고 있지만 가장 깔끔한 건 역시나 홍콩판을 구매하는 겁니다.
여기에 아이폰 13 시리즈가 출시되면서 아이폰 12는 가격이 조금 인하가 되었다고 하니 지금이 기회일 수도 있는데요.
아이폰 12 시리즈도 일찍 구매한 분들은 이미 1년 정도 잘 사용을 하셨을 테고 아이폰의 방수도 사용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처음 구매했을 때의 컨디션은 아닐 테니 저렴한 비용에 개조를 해보는 것도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아이폰 13 시리즈는 아직 물리 듀얼심 작업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고요.
지금 당장 아이폰 물리 듀얼심 개조가 가능한 건 아이폰 XR / 아이폰 11 / 아이폰 12 / 아이폰 12 프로 / 아이폰 12 프로 맥스입니다.
이미 여러 자료들이 많으니 부품만 구매해서 직접 작업을 하셔도 좋을 테고요.
다만 아이폰 12 시리즈는 패널이 이전 시리즈에 비해 파손이 쉬워 직접 작업하시는 건 어려울 수도 아이모 픽스와 같은 전문 업체에 의뢰를 하시는 것도 좋겠죠!
아이폰 듀얼심 개조 문의, 언제든지 환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