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미의 첫 번째 플래그쉽 스마트폰, 레드미 K20 프로!
스냅드래곤 855를 탑재하고도 40만원대라는 놀라운 가격으로 출시가 되어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계신 듯 합니다!
지난 개봉기에 이어 레드미 K20 프로의 기본적인 성능과 새롭게 탑재된 기능들에 대해서 살펴볼까 하는데요!
이전의 홍미 시리즈 스마트폰들처럼 가성비 출중한 녀석일런지 아닐런지는 직접 내용을 보시고 가늠해보실 수 있었으면 합니다.
이 리뷰는 유튜브에도 업로드 되어있구요! 같은 내용이니 선호하는 방법으로 봐주시면 될 듯 합니다!!
6.39인치, 노치없는 풀스크린! 대박이다!! |
개봉기에서도 잠깐 언급을 했었지만 레드미 K20 프로 사용을 시작하면서 가장 인상깊었던 부분은 바로 노치없는 6.39인치 풀스크린 입니다.
기존의 미믹스3도 같은 형태의 풀스크린이었지만 직접 경험해보질 못해서 더욱 크게 와닿는 듯 하구요.
같은 6.4인치 정도의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있다 하더라도 노치를 가지고 있는 아이폰 XS Max나 미9과는 전혀 다른 사용경험을 선사해줄 수 있을 거라 생각이 됩니다.
한 마디로 그냥 시원시원해요!
특히나 영상을 볼 때나 게임을 할 때, 상태바 영역 정도의 차이일 뿐임에도 그 몰입도 자체가 아예 다르다고 생각을 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노치나 물방울 노치, 그리고 핀홀 등 이제는 눈에 적응이 되어 그러려니 생각을 하고 있었지만 얼마나 걸리적 거리는 존재였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구요!
이와 아울러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는 낮은 밝기에서 플리커 현상으로 눈에 피로를 준다고 알려져있는데요! DC디밍이라는 플리커를 줄여주는 기술 또한 탑재하고 있어서 사용 편의성을 조금 더 높여준다고 합니다.
저 또한 특정 제조사 스마트폰을 사용하면 눈이 아파오는 증상을 겪고 있기도 하지만 샤오미 스마트폰은 그런 문제를 특별히 느끼지는 못했는데요! 과연 이 DC디밍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런지 실사용하면서 다시 한 번 체크해봐야 할 듯 합니다.
Google 기본 패키지 탑재, 업데이트만으로 충분!! |
레드미 K20 프로는 아직 중국 내수용으로만 출시가 되어있어 당장에 구매하는 제품들은 한글은 생각하지 않더라도 구글 플레이 등 우리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필수적인 앱들은 따로 설치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데요.
다행히도 미9과 같이 기본적인 구글 필수 패키지들은 선탑재가 되어 있어서 Google Play Store 정도만 내장된 Mi App Store에서 업데이트 해주는 것만으로도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시스템 앱으로 선탑재가 되어 있어 인스톨러를 설치할 때와 같이 설치 후 개별 권한을 부여하는 작업 등도 필요가 없구요. 이 부분만 가지고도 편의성은 예전에 비해 상당히 높아진다 볼 수도 있을 겁니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 설치 후 기본적인 키보드 앱이나 Morelocale 2 등 필요한 앱들을 바로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구요.
물론 Morelocale 2 정도로는 완벽한 한글화를 기대하기는 힘들지만 설정 메뉴 외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앱들은 모두 한글로 디스플레이가 되니 큰 불편함은 없습니다.
설정 메뉴 등도 처음에는 낯설어서 힘들 수는 있지만 어차피 한글화 된다 하더라도 발음 정도만을 그대로 옮겨둔 정도라 차근차근 훑어보시면 그 또한 크게 어려움은 없습니다.
국산 스마트폰들의 설정 메뉴 수준 또한 이런 정도일 뿐이구요!
부트로더 언락 대기, 계정에 따라 중구난방! |
당장에 중국롬으로 사용을 시작해도 별 문제는 없지만 그렇다한들 중국 전용 블로트웨어나 샤오미 내수용 앱들은 걸리적 거리는 존재일 수 밖에 없구요!
이미 스마트폰 유통 업자들에게는 K20 프로의 글로벌롬이 유출이 되어있다고 하니 미리미리 언락을 해두면 유출 후에 바로 글로벌롬을 설치해서 사용해볼 수 있겠죠!
거기에 지난 주부터 MIUI 대표 커스텀롬인 eu롬 또한 개발자 버전이 배포가 되고 있어 내수용 구매자들에게 부트로더 언락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 생각을 하시는게 좋을 겁니다.
지난 4월 미9/미9SE를 리뷰할 때까지만 하더라도 이 부트로더 언락 대기 시간이 무려 360시간에 달했었는데요!
개봉기 작성을 마치고 부트로더 언락을 위해 계정을 연결해둔 상태였는데 지난 토요일 확인을 해보니 레드미 K20 프로는 이 부트로더 언락 대기 시간이 87시간으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계정 연결 후, 하루 하고도 절반 정도가 지났던 시점이었으니 K20 프로는 360시간(15일) 대기가 아닌 120시간(5일)이 부트로더 언락 대기 시간이 되어버린 겁니다.
그런데 모든 사용자가 이렇게 5일이 되는 건 아니구요! 160시간 이상 나온다는 분들도 있는 걸로 봐서 연결하는 계정에 따라 이 부트로더 언락 대기 시간이 제멋대로 결정이 되고 있는 걸로 보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표기가 된다 하더라도 정작 저 시간에 부트로더 언락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일단 화요일 자정쯤 부트로더 언락을 진행해보면 그 결과를 알 수 있겠죠!
K20 Pro 벤치마크 테스트, 스냅드래곤 855 & UFS 2.1 |
2019년 퀄컴의 플래그쉽 AP인 스냅드래곤 855, 중/저가형 스마트폰을 대표하는 레드미 브랜드이지만 플래그쉽으로 발표가 된 K20 프로 또한 스냅드래곤 855를 탑재하고 있는데요.
샤오미와 레드미로 브랜드가 분리가 되면서 레드미의 플래그쉽이 등장할 것이라는 발표는 예전부터 있어왔지만 그리 늦지 않게 첫 선을 보인 듯 하구요!
스냅드래곤 855를 탑재하고 있는 만큼 레드미 K20 프로 또한 다른 플래그쉽들과 견주어봐도 당연히 성능이 떨어지거나 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습니다.
언제나 말씀드리지만 현 시점에서의 플래그쉽 AP라면 CPU보다는 그래픽 성능에서 중/보급기들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구요. GFXBench 테스트 결과로 봐도 스냅드래곤 855의 성능을 모두 다 보여주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겁니다!
GFXbench Compare | ||||||
구 분 | Redmi Note 7 (Adreno 512) |
POCO F1 (Adreno 630) |
K20 Pro (Adreno 640) |
|||
High-Level Tests | ||||||
Aztec Ruins OpenGL (High Tier) | 319.0 Frames |
1,075 Frames (17 Fps) |
1,592 Frames (25 Fps) |
|||
1440p Aztec Ruins OpenGL (High Tier) Offscreen | 207.3 Frames (3.2 Fps) |
697.3 Frames (11 Fps) |
1,074 Frames (17 Fps) |
|||
Aztec Ruins OpenGL (Normal Tier) | 507.3 Frames (7.9 Fps) |
1,633 Frames (25 Fps) |
2,400 Frames (37 Fps) |
|||
1080p Aztec Ruins OpenGL (Normal Tier) Offscreen | 551.6 Frames (8.6 Fps) |
1,822 Frames (28 Fps) |
2,682 Frames (42 Fps) |
|||
Aztec Ruins Vulkan (High Tier) | 297.6 Frames (4.6 Fps) |
1,034 Frames (16 Fps) |
1,520 Frames (24 Fps) |
|||
1440p Aztec Ruins Vulkan (High Tier) Offscreen | 186.9 Frames (2.9 Fps) |
696.3 Frames (11 Fps) |
1,036 Frames (16 Fps) |
|||
Aztec Ruins Vulkan (Normal Tier) | 469.6 Frames (7.3 Fps) |
1,606 Frames (25 Fps) |
2,286 Frames (36 Fps) |
|||
1080p Aztec Ruins Vulkan (Normal Tier) Offscreen | 511.3 Frames (8.0 Fps) |
1,807 Frames (28 Fps) |
2,661 Frames (41 Fps) |
|||
Car Chase | 483.1 Frames (8.2 Fps) |
1,371 Frames (23 Fps) |
2,059 Frames (35 Fps) |
|||
1080p Car Chase Offscreen | 530.6 Frames (9.0 Fps) |
1,481 Frames (25 Fps) |
2,341 Frames (40 Fps) |
|||
1440p Manhattan 3.1.1 Offscreen | 506.0 Frames (8.2 Fps) |
1,483 Frames (24 Fps) |
2,213 Frames (36 Fps) |
|||
Manhattan 3.1 | 823.1 Frames (13 Fps) |
2,145 Frames (35 Fps) |
3,310 Frames (53 Fps) |
|||
1080p Manhattan 3.1 Offscreen | 924.7 Frames (15 Fps) |
2,544 Frames (41 Fps) |
3,840 Frames (62 Fps) |
|||
Manhattan | 1,278 Frames (21 Fps) |
2,990 Frames (48 Fps) |
3,677 Frames (59 Fps) |
|||
1080p Manhattan Offscreen | 1,395 Frames (23 Fps) |
3,356 Frames (54 Fps) |
5,577 Frames (90 Fps) |
|||
T-Rex | 2,545 Frames (45 Fps) |
3,340 Frames (60 Fps) |
3,349 Frames (60 Fps) |
|||
1080p T-Rex Offscreen | 2,766 Frames (49 Fps) |
5,891 Frames (105 Fps) |
8,656 Frames (155 Fps) |
|||
Low-Level Tests | ||||||
Tessellation | 758.5 Frames (25 Fps) |
1,788 Frames (60 Fps) |
1,793 Frames (60 Fps) |
|||
1080p Tessellation Offscreen | 1,581 Frames (26 Fps) |
4,581 Frames (76 Fps) |
4,662 Frames (78 Fps) |
|||
ALU 2 | 591.7 Frames (20 Fps) |
1,794 Frames (60 Fps) |
1,797 Frames (60 Fps) |
|||
1080p ALU 2 Offscreen | 1,313 Frames (22 Fps) |
7,048 Frames (117 Fps) |
8,759 Frames (146 Fps) |
|||
Driver Overhead 2 | 1,002 Frames (33 Fps) |
1,774 Frames (59 Fps) |
1,793 Frames (60 Fps) |
|||
1080p Driver Overhead 2 Offscreen | 2,377 Frames (40 Fps) |
4,047 Frames (67 Fps) |
7,141 Frames (119 Fps) |
|||
Texturing | 4,214 MTexel/s | 15,299 MTexel/s | 19,908 MTexel/s | |||
1080p Texturing Offscreen | 4,184 MTexel/s | 12,866 MTexel/s | 19,929 MTexel/s | |||
Special Tests | ||||||
Render Quality | 2,510 mB PSNR | 2,510 mB PSNR | 2,510 mB PSNR | |||
ender Quality (high precision) | 3,632 mB PSNR | 3,632 mB PSNR | 3,632 mB PSNR |
물론 이런 벤치는 벤치일 뿐이죠!
그렇지만 벤치 결과와는 다르게 실사용에서는 괴리감을 느끼게 하는 기기들이 많아도 퀄컴의 스냅드래곤을 사용한 스마트폰은 이전 세대들과 저 벤치 점수 정도의 차이는 확실히 보여주고 있구요!
잠시 테스트를 해보면서, 그리고 모바일 배틀 그라운드부터 설치해서 잠시 플레이를 해봤지만 레드미 K20 프로라 하더라도 샤오미 미9이나 타사 플래그쉽들에 비해 성능이 떨어진다는 느낌은 전혀 들지 않습니다!
미9과 같은 커널을 사용을 하는 건지 여전히 GameBench 앱으로 프레임 측정은 불가능했지만, 백그라운드에서 1080p 녹화를 동시에 진행하면서도 프레임이 떨어진다거나 하는 느낌은 전혀 들지 않았으니 스냅드래곤 855의 성능만큼은 제대로 뽑아내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겁니다.
지금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중에서는 이렇게 1080p로 화면 녹화를 동시에 하면서도 모바일 배그 플레이에 지장을 받지 않는 건 스냅드래곤 855 탑재 기기들 정도 뿐이구요.
플래그쉽이 성능만으로 결정이 되는 건 아니라지만 플래그쉽이라는 타이틀이 붙는 최소한의 기준은 성능이라고 봐야 할 테고 스냅드래곤 855의 강력한 성능을 가진 K20 프로 또한 플래그쉽이라 불리기에는 전혀 부족함이 없는 스마트폰일 겁니다.
엥?? 쓰로틀링??? 미9과는 전혀 다른데???? |
스냅드래곤 855의 탑재, 그리고 그에 걸맞는 강력한 성능!
그렇다면 미9을 구매할 바에야 조금이나마 저렴한, 그리고 노치 없는 풀스크린을 가진 K20 프로가 무조건 더 낫지 않을까 생각을 하실 수도 있을 텐데요.
각 벤치 테스트와 모바일 배그를 실행해보면서 체감되는 발열은 미9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발열에 따른 쓰로틀링 덕분인지 벤치 점수 하락 폭이 미9에 비해 꽤 크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Redmi K20 Pro Antutu Dischage & Throttling Test | ||||
구 분 | Mi 9 | K20 Pro | ||
Score | Battery | Score | Battery | |
1차 | 374928 | 96% | 371390 | 99% |
2차 | 374025 | 92% | 369905 | 94% |
3차 | 371639 | 89% | 368810 | 91% |
4차 | 372679 | 85% | 366616 | 88% |
5차 | 372511 | 81% | 366640 | 85% |
6차 | 372709 | 77% | 365176 | 81% |
7차 | 373200 | 73% | 364145 | 78% |
8차 | 372546 | 69% | 353924 | 75% |
9차 | 370294 | 65% | 354257 | 72% |
10차 | 370463 | 61% | 357398 | 68% |
Run Time(Avg) | 7m 18s | 7m 39s |
회차가 거듭될 수록 손으로 잡기에는 부담될 정도의 발열과 함께 CPU와 GPU 모두 고르게 점수가 떨어지는 모습을 볼 수 있구요!
안투투 테스트 종료 후 확인되는 K20 프로의 CPU 온도는 무려 68.5도!
반면에 미9은 CPU 온도가 최대 50도 정도에서 제어가 되고 있으니 아무래도 CPU 발열 제어에서 미9과의 티어 구분을 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거라 봅니다.
물론 미9 또한 글로벌롬에서는 60도 정도로 CPU 온도가 상승을 하는 모습을 보기도 했는데요! K20 프로가 중국롬이라 같은 중국 안정롬 기준 테스트 결과만을 가지고 비교를 해본 겁니다.
안투투 벤치마크는 3D 테스트와 같이 진행이 되기 때문에 다른 스마트폰들에서도 이런 쓰로틀링은 흔히 볼 수가 있는데요!
레드미 K20 프로는 CPU 테스트만 진행이 되는 긱벤치 테스트에서는 안투투 이상의 쓰로틀링이 확인됩니다!
Redmi K20 Pro GeekBench 4 Dischage & Throttling Test | ||||
구 분 | Mi 9 | K20 Pro | ||
Score(S/M) | Battery | Score(S/M) | Battery | |
1차 | 3389 / 10962 | 100% | 3500 / 11020 | 99% |
2차 | 3400 / 10915 | 99% | 2996 / 10865 | 98% |
3차 | Error | 97% | 2998 / 10407 | 97% |
4차 | 3392 / 10869 | 95% | 2958 / 10165 | 96% |
5차 | 3386 / 10873 | 94% | 2830 / 10000 | 96% |
6차 | 3393 / 10930 | 93% | 2674 / 9772 | 95% |
7차 | 3388 / 10941 | 92% | 2644 / 9736 | 94% |
8차 | 3382 / 10905 | 91% | 2648 / 9676 | 93% |
9차 | 3376 / 10889 | 90% | 2623 / 9647 | 92% |
10차 | 3379 / 10949 | 89% | 2646 / 9706 | 92% |
10회 정도 연속 테스트를 해본 결과지만 싱글코어는 30% 이상, 멀티코어 또한 13% 이상 성능이 하락하는 걸 확인할 수 있구요!
이런 결과는 하드웨어 설계 오류이거나 펌웨어 최적화 문제로도 발생을 할 수가 있을 텐데요! 이 부분은 펌웨어를 업데이트하면서 계속 확인을 해보는 방법 뿐이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Amazing한 영상 재생 시간, 빠른 충전은 덤! |
샤오미의 플래그쉽 성능 중에서 가장 아쉬운 부분이 배터리 성능이라고 생각이 되는데요!
중/보급기들 대비 물리적으로도 작은 용량을 탑재를 하고 있지만, 플래그쉽 AP의 강력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배터리 소모가 극심한 건지 미9 또한 실사용 배터리 성능으로는 절대 좋은 평가를 내릴 수는 없었습니다.
그렇지만 레드미 K20 프로는 중/보급기들에 흔히 탑재되던 4000mAh의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면서 미9의 이런 부족함을 해결해주지 않을까 기대를 하게 되는데요!
실사용 전 영생 재생 테스트로는 화면 밝기 100% 기준으로는 약 16시간 39분, 화면 밝기 46% 정도에서는 약 24시간 41분 정도의 재생시간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대 밝기에서는 3300mAh의 배터리를 탑재한 미9의 약 16시간 10분에 비해 재생 시간의 차이가 크지 않아서 조금 의아하기도 한 부분인데요!
Redmi K20 Pro AVI Play Test(With Mi 9, Same Sample / Continuous playback test) | ||||
구 분 | MX Player, 밝기 15(100%) | MX Player, 밝기 7(46.67%) | ||
Mi 9(3300mAh) | K20 Pro(4000mAh) |
Mi 9(3300mAh) | K20 Pro(4000mAh) | |
시 간 | 약 16시간 10분 | 약 16시간 39분 |
약 18시간 36분 | 약 24시간 41분 |
대신 밝기를 낮춘 상태에서는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있으면서도 마치 LCD를 탑재한 것과 같은 사용 시간 비율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지금까지 사용해본 아몰레드 디스플레이 스마트폰들이 위와 같은 조건으로 테스트를 했을 때 밝기 100% 대비 재생 시간은 20% 정도 늘어나는데 그쳤었는데요! K20 프로는 무려 1.5배나 되는 재생시간이라서 말이죠!
물론 실사용에서는 이 절반 정도는 사용 시간이 나올까 의문이 들긴 하지만 앞서 보신 모바일 배그에서의 배터리 소모를 봤을 때에는 미9 대비 늘어난 배터리 이상의 사용시간을 보여줄 걸로 기대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충전 시간 또한 궁금하신 분들 많으실 텐데요!
4000mAh의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고, 스펙 상으로는 미9의 27W 번들 충전기도 지원을 한다지만 번들 충전기가 최대 18W의 QC 3.0 충전기가 아쉬움으로 남는 부분이긴 합니다!
그렇지만 샤오미 스마트폰이 충전 속도가 느린 스마트폰은 아니죠!!
번들 충전기로는 테스터에서 최대 17W 정도의 충전이 가능한 걸로 확인이 되었구요!
미9의 27W 번들 충전기로는 최대 24W까지 충전이 가능한 걸로 확인이 되었습니다!
K20 프로 또한 미9과 동일하게 굳이 미9의 27W 충전기가 아니더라도 9V 3A 출력을 지원하는 충전기라면 이 최대 24W의 충전을 사용할 수 있었구요!
방전된 상태에서 QC3.0의 번들 충전기로는 약 1시간 21분, 미9의 27W 충전기로는 약 1시간 7분 정도에 완충이 되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Redmi K20 Pro Charging Test | |||||||
구 분 | 15m | 30m | 45m | 60m | 75m | 90m | 충전시간 |
번 들 |
22% | 46% | 69% | 88% | 97% | 100% (-9m) |
1h 21m |
~17.6W | ~19.2W | ~18.4W | ~15.2W | ~7.2W | - | UpTo 19.2W | |
27W | 27% | 54% | 79% | 93% |
100% (-8m) |
- | 1h 7m |
~21.6W | ~21.6W | ~20.0W | ~8.5W | ~5.6W | - | UpTo 21.6W | |
비 고 | ※ 100% 종료가 되어도 충전기에서 약 3.5W 충전 계속 ※ 100% 완충 후 약 30분 경과 후 완충(Cut Off) |
최대 출력에 비해 충전 시간 차이가 그리 크진 않죠?
위 표에서도 정리를 해뒀지만 다른 스마트폰 제조사와 비슷하게 고속 충전이 적용되는 구간은 80% 이하 구간이고, 그렇다한들 최대 27W를 사용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QC3.0이든 27W 충전기이든 실사용에서의 차이를 느끼긴 힘들거라 보여집니다!
MIUI 10.3.8.0으로 업데이트! 얼굴 인식과 VoLTE도 해결!! |
개봉기를 진행할 때에는 VoLTE 사용에 문제가 조금 있었죠! 발신은 되지만 수신이 원활하질 못했었는데요!
개봉기 이후 바로 MIUI 10.3.8.0으로 업데이트를 진행했고, 문제가 되던 VoLTE 수신 부분은 당연히 해결! 며칠 테스트를 진행 중이지만 전화가 울리지 않는 경우는 보이질 않고 있습니다.
그리고 K20 프로의 초기 펌웨어에서는 탑재 되지 않았던 얼굴 인식 잠금해제 또한 펌웨어가 업데이트 되면서 추가가 되었습니다!
다만 팝업 카메라이다 보니 잠금화면에서 화면을 슬라이드 해야 사용이 가능하구요! 이 때문에 아무래도 사용 빈도는 조금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또한 팝업 카메라를 사용 중일 때 스마트폰을 떨어트리면 파손이 되지 않을까 걱정도 하게 되는데요!
잠시 테스트를 해보니 낮은 위치라도 스마트폰이 추락이 감지되면 팝업 카메라의 사용은 자동으로 종료가 되어버리니 크게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될 듯 합니다.(유튜브 리뷰, 11분 30초)
7세대 광학식 화면지문인식! 미9/미9SE보다 빠름빠름!! |
얼굴 인식 사용이 번거로워진만큼 아무래도 지문 인식 사용율이 높아질 수 밖에 없을 텐데요! 배터리 용량과 함께 스펙상으로 미9에 비해 K20 프로가 우월한 부분이 바로 7세대 화면 지문 인식입니다.
미9 또한 펌웨어 업데이트가 거듭되면서 처음 리뷰를 진행할 때에 비해 인식 속도와 인식율이 개선이 되고 있다는 건 체감이 되고 있는데요!
K20 프로는 그냥 빨라요! 지금까지의 경험으로는 충분히 불편함 없는 사용이 가능할 거라 생각이 됩니다!
노치 없는 디스플레이 때문에 콩깍지! |
며칠 간 성능 테스트를 빙자해 검수 겸 테스트를 해보면서 샤오미/레드미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오랜 만에 겪어보는 쓰로틀링은 조금 꺼림직 합니다!
특히나 긱벤치의 CPU 성능 하락 때문에 머리 속에는 물음표 한가득인 상황인데요!
그렇지만 이런 의문점들도 광활한 디스플레이 덕분에 크게 신경이 쓰이고 있질 않습니다!
더군다나 벤치 스코어로는 쓰로틀링이 확실하지만 1시간 이상 배그를 돌려봐도 프레임이 떨어진다거나 하는 느낌도 전혀 없구요!
개인적으로는 미9에 그리 만족하질 못해서 그런지 아직까지는 K20 프로가 나은 점들이 조금 더 많이 보입니다.
물론 우리 나라에는 미9이 정식 출시를 앞둔 만큼 K20 프로에 대한 관심이 그만큼 덜할 거라 생각이 되기도 하는데요! 직구를 생각하는 분들이라면 미9보다는 K20 프로를 우선적으로 고려해보는게 좋지 않을까 싶네요!
이 포스팅은 네이버 리퍼비쉬팩토리 포럼의 "개인 블로그" 행사를 통해
소정의 원고료를 제공받고 작성된 글임을 알립니다.
그렇지만 블로거 육성 & 지원이라는 행사 취지에 따라
포스팅은 일체의 간섭도 없이 제 소신껏 작성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