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충전 & 데이터 케이블... 언제나 고민이죠...
스마트폰을 구입하면 번들로 들어있는 건 하나.. 그렇지만 집에도 써야 하고.. 사무실에도 써야 하고.. 가방에도 하나 들어있어야 마음이 놓이는게 바로 이 케이블 입니다...
그렇지만 작년 부터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들도 충전속도와 데이터 전송 속도의 제한을 벗어나기 위해.. USB Type-C라는 규격을 채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신제품은 대부분 USB Type-C를 채용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죠...
하물며 중국 저가형 제품들도 이런 추세인데 더 말해 무엇하겠습니까.. ^^
USB Type-C to A 케이블.. 아무거나 쓰면 안 됐던 거야...? |
제 경우는 USB Type-C를 채용한 스마트폰은 구글 넥서스5X가 처음이었습니다.. 그 이후 샤오미 미5와 LeEco Cool1 Dual이 USB Type-C를 채용한 제품이었는데... 넥서스5X의 번들은 C to C Cable 이고.. 뭐 별다를게 있겠나 싶어 많이들 사용하시는 Kaiboer USB Type-C to A Cable을 몇 개 사서 쓰고 있었죠...
물론 지금까지도 별다른 문제 없이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구매 후 간혹 여러 커뮤니티에서 케이블에 사용된 저항값에 따라 기기가 고장이 날 수도 있다는 글들을 볼 수 있었습니다...
▶ 클리앙 : 잘못된 USB-C 케이블은 당신의 기기를 튀겨버린다!
요약하자면 USB Type-C to A 케이블의 경우에는.. 채용된 저항에 따라 모바일 기기나 충전기기에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라는...! 앞으로는 계속 이 Type-C를 채용한 기기들이 늘어날 텐데 신경을 안 쓸래야 안 쓸 수 없는 부분이죠...
그래서 구매한.. Anker PowerLine USB Type-C to A 3.0 Cable |
모바일 기기 사용하면서 겨우 이런 케이블 때문에 스트레스 받을 이유는 없죠... Micro 5핀 케이블이나 라이트닝 케이블은 이미 제대로 된(?) 제품들을 사용하고 있기도 하니.. Type-C 케이블도 다시 구매해봤습니다...
아무래도 익숙한 브랜드가 나을 거 같아서.. Anker PowerLine으로....! 제품 안내에 대문짝(?)만하게 56k Ohm 저항을 사용하고 있다고 써두고 있습니다...!
3개가 들어있는 번들팩을 샀기에... 길쭉한 패킹 안에 케이블 3개가 들어있더군요...!
왠지 튼실해보이는 케이블.. 그리고 모두 벨크로 타이가 이쁘게 묶여있......!(이 가격에 이 정도도 안 하면.. ㅡ.ㅡㅋ)
넥서스5X를 연결해봤습니다... C to C가 아닌 이상에야 고속 충전이 안 된다는 건 이미 검증(?)이 되었고... 약 5v 1.3A 정도로 충전이 됩니다.. 그래도 조금이나마 더 나올 줄 알았는데요... ㅎㅎㅎㅎ
아래는 기존에 사용하던 Kaiboer Cable... 역시사 5v 1.3A 정도로 충전이 됩니다... 액정에 디스플레이 되는 고속충전 문구야 뜨다가 안 뜨다가 하는 거라...(대체 기준이 뭐냐...!)
넥서스5X & 6P 말고도.. 이런 케이블 필요한 거야...? |
일단 저는 요즘 넥서스를 만질 일이 많은지라 구매를 했습니다만.. 다른 스마트폰에도 이렇게 56K Ohm 저항을 채용한 케이블이 필요할런지는 의문입니다...
강x전자라는 아실만한 분들은 다 아는.. 소모품 회사에서도 관련 이슈에 대한 안내를 별도로 하고 있기도 합니다...
사용용도에 적합한 케이블 규격이 있을 뿐...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는 내장된 파워 매니지먼트로 제어가 되기에 문제가 없을 것이다.. 라는 내용입니다...
그리고 위 케이블 문제를 제기한 글을 보게 되면.. 5v 3A 충전시 발생하는 문제만을 다루고 있는데... 이건 구글 외 타사 스마트폰이 채용하고 있는 충전규격과는 조금 틀리죠...
삼성이라면 Adaptive Fast Charge라는 독자 규격을 사용하고 있고.. 스냅 AP를 채용한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퀄컴 퀵차지 규격을 따르고 있을 테니까요...! 이런 규격들은 구글 넥서스들과는 규격이 좀 틀리다고 봐야하지 않겠습니까... 넥서스의 경우에는 퀄컴 퀵차지 자체가 호환이 되지 않기도 하구요...
작년부터 중국 스마트폰을 많이 다루면서.. 관련 커뮤니티에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만... 허접한 케이블의 충전 문제 아니고서는 아직 별다른 문제가 없기도 했습니다...
이건 개인의 선택 문제겠죠...
그렇다고 또 아무 케이블이나 사용하진 마시구요... 잘 모르시겠으면 최소한 제조사 번들 케이블을 이용하시는게 현명한 선택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이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