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MS스토어에서 구매후.. 개통(확정기변)까지 총 2주 정도 소요되었네요..
핸드폰 주문에서 수령까지가 1주일...(주말포함)
그리고 언락코드 수령까지가 5일..(주말포함)
강화유리 수령까지 이틀을 더 기다린...
유심기변으로 바로 사용이 가능했었으나...
3G HD Voice 사용을 위해.. SKT 지점에 방문해서 기기등록을 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세컨폰을 정리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구요...
기본적으로 유심기변을 하게 되면.. OMD(Open Market Device) default Handset 으로 설정이 됩니다...
SKT 기준으로 자급제 단말 또는 해외 단말기라면 기본적으로 부여받는 모델명이구요...
원래 3G 단말기 시절부터 내려오던 코드 입니다만.. LTE 단말기도 저 코드만으로 LTE 사용 잘 됩니다..
물론 SKT에서는 OMD LTE default Handset 으로 변경하길 권합니다만... 상관은 없습니다...
여기서 부가기능(HD Voice 등)이 필요하면 코드명을 변경해줘야 합니다...
국내에서 유통되는 자급 모델들은 공식대리점에서도 가능합니다만...
외산 단말기들은 무조건 "지점"을 가셔서 변경을 해야 합니다..
공식대리점에는 외산단말기 설정에 대한 권한은 없다고 하네요...
Lumia 640의 경우 MS스토어의 스펙에는 3G HD Voice에 필요한 코덱(AMR-WB) 부분이 빠져있습니다만..
윈도우폰이 그래도 많이 사용되는 유럽 쪽 정보를 보면 코덱을 지원한다고 나오네요..
그래서 일단은.. 저도 신청을 해봤습니다...
언제나처럼 부산 서면지점 방문을 했고..
확정기변과 동시에 ODH2(모델명 : OMD Default 핸드셋_3G HD Voice)로 단말기 코드 변경을 요청했습니다..
보통은 지원여부는 보장하지 못 한다 등의 안내를 해주십니다만...
1년에 서너번은 방문을 하는 처지인지라...
별도의 안내없이 낯익은 직원분께서 바로 처리를 해주시네요...
APN도 설정을 하려고 하시던데.. 그건 제가 말렸습니다...
작년에 윈도우 태블릿 개통할 때 설정 파일을 보면서 느꼈던 건데..
기본적인 설정들은 이미 폰 안에 저장이 되어 있는 듯 합니다...
지금도 별도 설정 없이 인터넷/MMS 등 모든 기능 정상이거든요...
저렇게 별도 코드 등록을 하더라도 별다른 불이익은 없으니... 손해볼 건 없습니다...
어차피 AMR-WB의 지원여부도 확실하지 않은 상태인지라... ㅋ
많은 분들이 통화품질에 문제를 제기하시는 Xperia Z2도 멀쩡히 잘 쓰던 처지인지라..
느낄 수 있을런지는 모르겠지만.. 사용가능한 기능은 모두 활성화 시켜야하지 않겠습니까~!
(Xperia Z2보다 통화음이 크긴 합니다만... 전 거기까지네요.. ㅠ.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