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코폰 VoLTE 패치 가이드가 버전업 되었습니다! 아래 포스팅 확인 부탁드립니다!!
▶ 2018/09/22 - 샤오미 포코폰(POCO F1) SKT/KT VoLTE 패치 - 버전 업, 초기화 안 됩니다!
금요일 밤, 부트로더 언락이 되자마자 VoLTE부터 확인을 해봤었습니다.
일단 제대로 사용이 된다는 부분은 확인이 되었고(안 되면 이상한) 이제 좀 쉬운 방법이 없나 찾아보는 일만이 남은 거였는데 금요일 밤을 꼴딱, 그리고 토요일을 넘어 일요일 새벽까지도 이런 저런 방법들을 시도해봤지만 역시 미8/미8SE와 마찬가지로 안드로이드 보안 문제가 발목을 잡네요! ㅠㅜ
VoLTE 사용은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제가 판단하기에는 치명적인 문제들이 따라옵니다!!
유플러스 사용하는 분들은 기본으로 지원을 하니 그냥 사용하시면 될 테구요. 그렇지만 SKT와 KT 사용자 분들은 아래 내용 먼저 차분히 훑어보시고 본인에게 반드시 필요한 건지 결정 후 작업 하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이 가이드 포스팅은 유튜브에도 업로드 되어 있구요. 아래 내용으로 이해가 잘 안 되는 분들은 참고 바랍니다.
|
영 순위, 작업 전 유튜브의 영상이나 이 포스팅을 차근차근 읽어보시고 꼭 작업이 필요하겠다, 나도 할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면 진행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내용은 방대하지만 의식의 흐름(?)에 따라 최대한 상세히 작성이 되어 길어진 것 뿐이며 작업 내용은 전혀 어렵지도 위험하지도 않습니다.
첫 번째, 이 작업은 금단의 영역(?)을 임의 수정하는 작업입니다. 루팅이 필요하며, 이 루팅을 위해 부트로더 언락이 먼저 진행되어야 합니다.
두 번째, 이미 부트로더 언락을 하면서 초기화를 하셨겠지만 이 VoLTE 작업 또한 이 가이드대로 진행하면 초기화가 한 번 더 이루어집니다. TWRP가 파티션 암호화를 해독하지 못해서 벌어지는 일이구요. 작업 전 백업은 선택이 아닌 필수!
세 번째, 작업 전 SKT/KT OMD 등록은 필수라고 생각을 합시다. OMD 등록도 하지 않고 설정 후 VoLTE 안 된다는 질문은 제발 하지 말아주세요.
▶ SKT OMD : OMD 기타LTE핸드셋 VOLTE 또는 OMD 샤오미핸드셋 VOLTE_NEW(지점 또는 대리점 방문 必)
▶ KT OMD : PTA-VOLTE(114 → 통화품질 상담 연결 후 등록)
※ 알뜰폰의 경우 사용 전 고객센터와 상담 후 진행하시면 됩니다. CJ헬로모바일 SKT망의 경우 신청 없이 유심을 먼저 삽입하면 OMD Default 핸드셋으로 고정되어 OMD명 변경이 안 된다는 코우지님의 전언이 있었습니다.
네 번째, PC의 후면 USB(또는 유전원 허브)를 사용하여야 하며 USB 2.0에서만 작업하셔야 합니다. USB 3.0 포트에서는 작업 성공 여부 보장하지 않습니다.
|
여타의 기기들과 마찬가지로 포코폰 F1 또한 작업이 필요한 파일들은 작업 편의성을 위해 하나의 압축파일로 제공합니다.
▶ POCO F1 VoLTE : https://goo.gl/EBp4tW
※ 자료 출처
1. TWRP : https://forum.xda-developers.com/poco-f1/development/recovery-twrp-3-2-3-x-t3836241
2. Minimal ADB & Fastboot : https://freeandroidroot.com/download-minimal-adb-and-fastboot-all-versions/
3. Mi Flash tool & QPST & Qualcomm Driver : http://en.miui.com/forum.php
4. 홍미노트5 EFS : https://ruinses.tistory.com
※ Speicail Thanks to 코우지님, 회귀본능 님 이하 외산폰 수고를 위해 노력해주신 모든 분들!
다운로드 후 압축을 해제하면 6개의 폴더와 하나의 파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3번까지의 폴더는 작업에 필요한 드라이버와 관련 프로그램들로 사용하는 윈도우별 "드라이버 서명 적용 사용 안함" 옵션으로 부팅 후 설치를 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4번 폴더는 Diag 모드 활성화 후 드라이버가 잡히지 않을 때 수동 설치를 위해 필요한 드라이버 모음(설치 아닙니다)이고, 나머지 폴더들은 작업에 필요한 데이터 파일들입니다.
아래의 작업은 위 프로그램들이 모두 정상 설치되었다는 전제 하에 진행이 됩니다.
진행 중 프로그램 실행이나 장치 드라이버가 제대로 잡히지 않는다면 PC 문제일 확율이 가장 높으니 다른 PC에서 작업하셔야 할 겁니다.
|
VoLTE 1, 부트로더 언락이 된 포코폰은 다시 FASTBOOT으로 부팅(전원 + 볼륨(-))로 부팅해서 PC와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합니다.
VoLTE 2, 그 후 첨부된 작업 Script와 TWRP 이미지 파일을 이용해서 아래와 같이 TWRP를 설치, 부팅 합니다.
▶ TWRP 설치 : fastboot flash recovery /파일경로/twrp-3.2.3.0-beryllium-20180831.img
▶ TWRP 부팅 : fastboot boot /파일경로/twrp-3.2.3.0-beryllium-20180831.img
VoLTE 3, TWRP로 부팅된 포코폰은 암호를 묻는 경고 메시지와 만나게 됩니다. 아직 포코폰은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아 공식 TWRP 나오지 않았고, 지금 사용되는 TWRP는 버그로 인해 파티션 암호화 해독 또한 불가능해서 불가피하게 "Cancel" → "Keep Only"로 TWRP 메인으로 진입합니다.
VoLTE 4, TWRP 메인에서 Wipe → Format Data → yes를 입력해 데이터 파티션을 삭제합니다.
안타깝게도 이 때 포코폰 초기화가 한 번 더 이루어지는게 되구요. 사용되는 TWRP가 암호화된 파티션을 해독하지 못하기 때문에 루팅 작업을 위해서는 불가피한 과정입니다.
VoLTE 5, 데이터 파티션 포맷이 완료되었다면 TWRP 메인에서 Reboot → Recovery를 선택해서 TWRP로 재부팅 합니다.
VoLTE 6, 재부팅이 완료되면 포코폰은 PC와 자동으로 MTP 연결이 됩니다(데이터 파티션 포맷으로 암호화 해제). 이 때 압축 해제된 TWRP_ROOT의 DisableForceEncryption_Treble.zip 파일을 포코폰으로 복사합니다.
VoLTE 7, TWRP 메인 → Install 메뉴에서 이 복사된 파일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파일을 선택 후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재부팅!
이 DisableForceEncryption_Treble.zip 파일의 역할은 차후 펌웨어를 업데이트 하더라도 파티션이 암호화 되는 걸 방지해주는 역할이며 Magisk 루팅까지 포함이 되어 있습니다.
VoLTE 패치 후 언루팅을 하게 되면 이 패키지까지 무력화되는데 이 부분은 아래에 다시 말씀드립니다.
VoLTE 8, 재부팅이 완료되면 초기화된 상태로 부팅이 되구요. 기본 설정 후 앱 서랍을 확인하면 Magisk가 설치된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Magisk는 별도로 실행할 필요 없으며, 설치 확인 후 설정 → 휴대전화 정보의 MIUI version(For POCO)를 7번 연타해서 개발자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그 다음 추가 설정 → 개발자 옵션에서 USB 디버깅을 활성화 합니다.
VoLTE 9, 이 상태에서 PC와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하면 아래와 같이 ADB 권한 부여를 확인하는 메시지가 자동으로 올라오는데(안 올라올 수도 있습니다) 확인을 눌러 권한을 부여합니다.
VoLTE 10, 다음 아래의 명령어들을 순차 입력해서 포코폰의 Qualcomm Diag 모드를 활성화합니다.
이 때 위 VoLTE 9에서 확인 메시지가 없었던 분들은 메시지가 나올 수 있으니 당황하지 말고 확인을 눌러주시면 되구요.
두 번째 명령인 su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화면 중앙에 표시됩니다. ADB에 Magisk를 통해 root 권한을 부여한다는 메시지이니 이 또한 10초 이내에 확인을 눌러 권한을 부여해주셔야 합니다.
VoLTE 11, 정상적으로 ADB 명령이 입력이 되었다면 아래 스크린샷 하단과 같이 장치 관리자에 Qualcomm HS-USB~(COMXX)라는 드라이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 드라이버가 올라오지 않고 기타 장치로 잡힌다면 위 첨부된 폴더 중 4번 폴더를 수동으로 드라이버 위치를 지정해서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진행하시면 되구요.
설치된 QPST 프로그램 그룹에서 Software Download를 실행, Backup 탭에서 QCN 타입으로 파일 이름을 지정 후 적당한 위치에 EFS 데이터를 백업해 둡니다.
VoLTE 12, 백업 완료 후 EFS Explorer를 실행해서 위 장치관리자에 잡힌 포트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 후 "OK"를 눌러 연결합니다.
VoLTE 13, 로딩이 완료되면 SKT는 두 개의 폴더에 두 개의 파일, KT의 경우에는 efsprofiles 폴더에 있는 하나의 파일만 복사/붙여넣게 해주시면 됩니다.
첨부된 파일의 EFS_Data 폴더에 각 통신사별, 폴더별로 별도로 저장을 해뒀으니 그대로 복/붙 해주시면 되구요.
주의하실 점은 아래와 같이 각 폴더별 2개의 파일이 존재합니다.
이 파일 중 파일명 뒤에 "_Subscription01"이 붙은 파일이 Sim2용 파일, 없는 파일이 Sim1용 파일이니 VoLTE를 사용하는 심 위치를 확인하신 후 해당 파일을 복/붙 해주셔야 합니다.
VoLTE 14, EFS 파일 복사 작업이 완료되면 케이블을 분리 후 포코폰은 재부팅 합니다.
VoLTE 15, 재부팅이 완료되면 순정 다이얼러를 실행해 "*#*#86583#*#*"을 입력합니다.
입력 완료 후 자동으로 상태바에 VoLTE 사용이 가능해지는 걸 확인하실 수 있고, 이제 즐겁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작업은 모두 끝이 났습니다만 정작 문제(?)는 이제부터 시작이기도 한데요. 작업이 끝났다고 방심 마시고 아래의 내용까지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 상태로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가장 큰 문제는 포코폰은 루팅이 되어 있기 때문에 루팅을 감지하는 모든 앱은 사용이 불가능해집니다.
물론 아래와 같이 Magisk를 실행해서 제거를 해준다면 당장 사용하는 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습니다.
그렇지만 위에서도 잠시 언급했듯이 이 Magisk는 루팅은 물론이고 파티션 암호화 방지에도 동시에 사용이 되는 걸로 보이는데 루팅을 해제하면 파티션은 순정 상태로 암호화 되어버립니다.
위 작업 과정을 보셨다시피 업데이트 후 VoLTE가 풀려서 다시 작업을 하려면 지금 상황에서는 포코폰이 또다시 초기화 됩니다.
스마트폰이라는 제품이 성능도 중요하지만 사용 연속성도 보장이 되어야 할 텐데요. 이 부분을 보장하지 못하게 된다는 거죠!!
물론 지금은 제품 출시 초기라 차후 파티션 암호화 해독이 가능한 TWRP가 배포가 된다면 별다른 문제는 없겠지만 기존에 출시된 미8과 미8SE 또한 아직 이 부분이 제대로 해결되지 않고 있음을 생각했을 때 과연 가능할까 하는 의문이 남습니다.
이렇게 Magisk 루팅이 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파티션은 암호화 되지 않기 때문에 펌웨어 업데이트가 나와도 TWRP에서 업데이트를 하고, 이 때 VoLTE가 풀리더라도 다시 ADB 명령을 통해 VoLTE 패치가 가능합니다.
그렇지만 금융 앱들을 포함한 루팅을 감지하는 모든 앱들은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버리니 진퇴양난이 되어버리는 겁니다.
이 VoLTE 패치 방법은 이미 기존에 포스팅했던 미8/미8SE VoLTE 패치와 별반 다를 바 없습니다. TWRP만 다를 뿐 사용되는 EFS DATA까지도 동일하죠.
다만 그 기기들의 경우에는 TWRP가 반드시 필요한 eu롬이라는 대안(?)이 있었기 때문에 이렇게 사용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는 순정롬에서의 설치는 권하지 않는다고 이미 밝힌 바 있습니다.
그렇지만 아예 글로벌 버전으로 판매되는 이 포코폰에 eu롬이 배포가 될런지는 의문이구요. 그래서 다시 잔머리를 굴려보니 MIUI에 포함된 보조공간이라는, 또 하나의 스마트폰(?)이 도움이 될까 였습니다.
정확한 명칭은 모르겠지만 삼성 갤럭시에도 녹스를 활용한 비슷한 기능이 있는 걸로 알고 있구요.
이 보조공간은 기본 펌웨어 안에 또 하나의 가상의 스마트폰을 생성해주는 방식이라 메인 공간의 루팅에 영향을 받는 것도 아니라서 루팅을 감지하는 앱들은 이 보조공간에서 사용해보면 어떨까 생각을 해본 겁니다.
그렇지만 이 보조공간 또한 아직 완벽한 가상 스마트폰은 아닌 건지 모든 앱에서 동작을 보장하질 못하구요. 특히 대부분의 은행앱 정도는 실행과 사용이 되었습니다만 제 경우에는 카카오뱅크가 막혀버리더군요.
이 보조공간은 TWRP가 설치되어 파티션 암호화가 해제되어 있더라도 계속 유지가 되고, 펌웨어 업데이트 또한 리커버리 버전을 이용해서 TWRP에서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꽤 괜찮은 대안일 거라 막연히 생각을 했었지만 결국 제 경우에는 앱 호환 문제로 큰 도움이 되지는 못할 듯 싶네요! ㅠㅜ
그렇다 해도 어쩌면 도움이 되는 분들도 있을까 싶어서 한 번 말씀을 드려보는 거구요.
올초부터 VoLTE EFS 이식 작업을 진행하면서 많은 분들의 좋은 글들 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는데요.
통신사간 VoLTE 연동이 최초로 시작된게 우리 나라이고, 지금도 미국 일부 통신사들 외에는 서비스가 되지 않는다는 것 또한 이제서야 알게 되었습니다.
여러 고수분들께서 우리 나라의 VoLTE 또한 국제 표준을 따르고 있다지만 이 국제 표준이라는 기술이 제대로 보급이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 해외 스마트폰에는 탑재될 이유 또한 없는, 그런 상황이 되는게 아닌가 생각이 들기도 하구요.
여기에 제조사 입장에서는 정식 출시 국가도 아닌 곳의 통신 스펙을 일일이 확인해서 탑재할 이유가 없기도 할 테구요.
개인적인 추측입니다만 어쩌면 제조사들이 출시 국가/지역별 탑재 통신 스펙을 담합하고 있는 걸 수도 있겠죠. 삼성이나 LG 스마트폰 또한 해외 버전의 경우에는 우리 나라에서 VoLTE 사용이 불가능하기도 하니까요.
VoLTE, 분명히 빠르고 편리한 기술이긴 합니다.
그렇지만 통신사들이 스마트폰 유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우리 나라에서는 이를 무기로 3G 대역폭은 점점 더 줄여가고 있고, 이 덕분에 저렴한 해외 스마트폰을 직구해서 사용하는 게 점점 어려워져 가고 있다는 점이 안타까울 뿐이네요.
아마 같은 기기를 해외 판매가와는 다르게 비싼 출고가를 책정하는 것도 이런 걸 믿고 하는 걸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구요.
저는 SKT를 메인으로 사용하면서 KT 3G와 통화할 때를 제외하고는 VoLTE와 큰 통화품질의 차이는 느끼지 못했습니다.
SKT/KT 포코폰 유저분들은 먼저 3G 사용을 해보시는 걸 추천하구요. 불편해서 견디지 못하겠다면 위 내용 참고해서 VoLTE 패치를 해보시는 게 어떨까 합니다.
그리고 VoLTE 패치 후 언루팅을 할 것이냐 루팅을 유지할 것이냐는 개인 판단에 맡기겠습니다!!